Suitable Yields Reflecting Consumer Preferences in 'Hongisul' Grapes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ndicators and proper standards to forecast the sensory quality of ‘Hongisul’ grape. Further, this study determines the optimum fruit load of ‘Hongisul’ grape reflecting consumer preference. Among several quality attributes, identified through instrumental and sensory evaluation, soluble solid-acid ratio was the most useful indicator of consumer preference for ‘Hongisul’ grapes. The ideal soluble solid-acid ratio for marketable grap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86.3. Analysis on the effects of fruit load control on fruit quality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where the latter increased as the former decreased. This trend is common for all grape species. The field with a fruit load of 1,400 kg・10 a -1 exhibited a soluble solid-acid ratio of less than 86.3, uneven coloring and slow softening texture at the mature stage. However, fruit quality proved excellent in the field with a fruit load of 1,200 kg・10 a -1 or less. It is therefore proposed that fruit load should be controlled to 1,200 kg・10 a -1 or less when growing ‘Hongisul’ grapes to produce high quality grapes. We believe that this result can be used as a standard in judging harvest time and evaluating fruit quality. Additional key words: anthocyanin, coloration, new cultivar, sensory test, soluble solid-acid ratio *Corresponding author: koussa@cau.ac.kr ※ Received 9 September 2013; Revised 7 November 2013; Accepted 5 February 2014. 이 논문은 2013년도 중앙대학교 연구장학기금 지원에 의한 것임. C 2014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서 언 농산물 시장의 개방에 따라 소비자의 과실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며, 갈수록 고품질 과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 국내 생산 품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기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반면에, 국내 재배 품종의 편중화로 인해 수입되는 품종들에 대응하 기 위한 품종 다양성은 매우 부족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탐나라’, ‘흑구슬’, ‘흑보석’ 등과 같은 국내 육성 신품종의 보급 확대 및 품질 향상을 통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 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국내 육성 신품종 중 ‘캠벨얼리’와 유사한 풍미를 가진 고품질 포도를 생산하고자 육성된 ‘홍이슬’ 포도는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캠벨얼리’와 ‘힘로드’를 교배하여 2000년에 최종 선발한 품종으로, 적색 계통의 선홍색 과피를 가지고 있다. ‘홍이슬’은 ‘캠벨얼리’와 비교했을 때, 향은 유사하면 서도 산도가 낮고 당도는 1-2°Brix 정도 높아 ‘캠벨얼리’의 대체 품종으로 선발되었으며, 내한성이 강해 동해 피해 없 이 안전한 재배가 가능하다(Park et al., 2006). 또한 탄저병, 노균병 등 일부 병에도 저항성을 가지고 있고, 열과가 없어 재배가 용이하며, 숙기가 오래 지속되어 품질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재배 기술이 확립되지 않아 ‘캠벨얼리’와 같은 방법으로 재배되고 있으나 재배상 의 문제점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 한 연구들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에 착색 불량, 당도 저하 등으로 인한 상품성 저하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ABA 처리가 시도되었는데, 착색기의 과방에 ABA를 처리 Kor. J. Hort. Sci. Technol. 32(3), June 2014 304 한 경우, 과실 품질이 향상된 반면, 과육의 연화가 급격히 진행된다고 보고되었다(Shin and Park, 2012). ‘캠벨얼리’와 ‘거봉’ 포도에서는 환상박피를 통한 착색 촉진 효과가 연구 되었으나(Park et al., 2009a), 생육 부진, 고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피해야 할 재배 방법으로 평가되었다(Kwon et al., 2011a). 한편, 과실의 성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 로 착과량 조절에 대한 연구도 여러 과종에서 다수 수행되 었으며(Kwon et al., 2011b; Irene et al., 2001), 포도의 경우 에, ‘캠벨얼리’와 ‘거봉’에서 착과량을 줄일수록 착색이 촉 진되고 당도가 증가하여 과실 품질이 향상되었고, 꽃떨이현 상과 같은 생리장해와 수체의 생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him et al., 2007; Song et al., 2000). 특히, ‘홍이슬’ 포도 재배 시 최대한 생산량을 높이 고자 착과되는 대로 수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홍이 슬’ 포도의 적정 착과량을 구명하는 것은 앞에서 예로 든 외부적인 처리들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착색 불량, 당도 저하 등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원인에 근접한 해결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이슬’ 포도의 시장 경쟁력 확보 를 위해 소비자의 기호도, 즉, 관능적 품질을 객관적으로 예 측하는 품질 지표와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기호가 반영된 적정 착과량을 구명하여 국 내 포도 시장에서의 품종 다양화와 신품종의 보급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Keywords: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