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al Arrangement of Resilient Mount installed on Frame Support Structure at Shipboard Equipment under Shock Load

2015 
함정에 사용되는 많은 탑재장비는 충격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해군에서는 함정 탑재장비 및 받침대의 수중폭발에 대한 내충격 성능은 충격시험을 통하여 확 인하되, 중량과 제원 고려시 충격시험이 불가한 경우에는 이론해 석을 통하여 확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론해석 및 평가 방법 으로는 일반적으로 미해군의 DDAM(Dynamic Design Analysis Method)(NAVSEA)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DDAM은 모드중첩 법을 바탕으로 하는 선형 해석방법이기 때문에 비선형 강성특성 을 갖는 탄성마운트를 부착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탄성마운트를 고려하기 위하여 독일의 BV043 (Federal German Army Procurement Office, 1985)에 의한 해석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충격하의 영향이 매우 큰 탑재장비의 경우 탄성마운트를 설치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고 함정 구조물 및 탑재장비의 안 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Naval Sea Systems Command, 1989). Han, et al. (2011)은 함정 탑재장 비의 내충격 성능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BV043과 DDAM에 사용 되는 충격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하였다. 탄성마운트의 개수 및 위치는 통상 많은 경험을 토대로 판단되고 배치되며, 프레임 지 지구조의 형태, 탑재장비의 중량, 중량분포의 다양성, 탄성마운 트 형태 및 적용조건에 따라 구조 응답을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함정에 탑재되는 장비의 탄성마운트 배치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Park, et al. (2001)은 확률 pISSN:1225-1143, Vol. 52, No. 4, pp. 298-304, August 2015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2
    References
    4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