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산시와 회령시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서비스 가치 연구

2011 
본 연구는 RS/GIS 기술을 바탕으로 무산과 회령지역의 3시기 토지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 지역의 토지이용변화와 이에 따른 생태서비스가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917~2006년 사이 무산과 회령지역의 경작지, 인공림, 건축용지, 미이용지는 증가하고 천연림, 초지, 수역, 습지면적은 꾸준히 감소하였다. 무산지역의 천연림 면적의 감소량은 7,925.34ha에 달하여 가장 많고 건축용지의 증가 폭이 가장 빠르다. 회령지역은 초지가 1,594.34ha 감소하여 감소폭이 가장 크고 미이용지의 증가가 가장 많다. 무산지역의 ESV는 1917년의 66,135.26×10(6)원에서 2006년의 37,894.51×10(6)원으로 감소하여 감소량이 28,240.75×10(6)원에 달하였으며 감소폭은 42.71%에 달하였다. 회령지역의 ESV는 1917년의 145,862.69×10(6)원에서 2006년의 106,948.44×10(6)원으로 감소하여 감소량이 38,914.25×10(6)원에 달하였으며 감소폭은 26.68%에 달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은 생태환경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지하기 위해 효율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