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시장화와 사회적 자본

2020 
본 연구는 북한 시장화에 따른 사회구조 및 질서 변화를 사회적 자 본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자본은 한 사회의 지배적 규범이나 가치체계의 특성을 거시적 관점에서 관찰할 때 발견 할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의 핵심적 구성요소는 연결망, 규범, 신뢰이다. 시장화 이전 북한 사회의 대표적 연결망은 국가 또는 당 중심의 공식 적 연결망이다. 공식적 연결망은 통제와 지시가 이루어지는 수직적이고 폐쇄적 연결망이었고 감시와 속박의 수단으로 기능했다. 연결망 구성원 들은 상호 간 신뢰가 낮고 서로 무관심했다. 시장화 과정에서 거래와 교환을 목적으로 비공식적 연결망이 활성화되었다. 혈연적 연결망이 가 장 기본이 되었고 다양한 연줄 관계가 형성되면서 자발성에 입각한 유 기적 연대가 만들어지고 신뢰에 기반한 호혜성 규범이 생겨났다. 신뢰 대상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신용거래가 등장하는 등 신뢰는 필 수적 요소로 인식되었다. 북한 시장화 과정에서 등장한 연결망에 배태 된 호혜성 규범이 사회 전반의 일반화된 호혜성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 현재 북한의 사회적 자본의 특성이라고 하겠다.
    • Correction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