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韓中) 일월상문(日月象文)의 해와 달 문양 디자인 표현 비교 및 상징성 연구

2020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인간의 삶과 생활 전반에 영향 을 준 해와 달의 문양 표현과 그 상징성을 찾아보기 위해 한· 중(韓中) 일월상문을 중심으로 양국 문양 디자인 표현의 관련 성 규명과 상징적 요소를 찾아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내용 및 범위는 삼국시대 유물부터 발견되는 해와 달의 문양을 대 상으로, 대표성을 갖는 해의 원형적 표현인 삼족오(三足烏), 달의 원형적 표현인 두꺼비와 토끼로 제한한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韓中)의 일월상문(日月象 文) 설화와 신화를 비교한 결과로, 음양사상에 근본을 두고 인간계의 혼돈을 바로 잡기 위해 1개의 해와 달이 남았으며, 해와 달을 상징하는 요소는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중(韓中) 일월상문(日月象文)의 문양 표현을 비교한 결과, 해와 달 문양이 출토되는 유물은 양국이 유사하며, 해는 원과 삼족오, 달은 원과 두꺼비, 토끼의 형태로 표현된다. 그리고 조류(鳥類)로 표현된 해는 3개 혹은 2개의 다리를 가진 삼족 오의 형태로, 해의 내부·외부에, 정적·동적인 형태, 장식·비 장식적 표현으로 구분된다. 양서류와 동물로 표현된 달은 섬 여(蟾蜍), 두꺼비와 토끼의 형태로, 달의 내부·외부에, 단독으 로 혹은 함께 표현되며, 정적·동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양국 모두 음양사상(陰陽思想)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해 문양 의 상징성은, 양(陽), 일정(日精), 하늘, 왕권, 장생, 천지인 사 상, 영원성, 정치·사회·문화’를, 달은 ‘음(陰), 월정(月精), 물· 땅·다산, 여왕, 민중, 장생불사, 풍요, 기원’을 상징한다. 결론 한국의 해와 달 문양 디자인이 중국에서 유래했다고볼 수 있 듯 서로 다르지 않은 요소들로 표현되었지만, 그 표현 양식에 있어서는 고유의 전통 양식을 형성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