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Role Attitude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 The Mediating Effects of General Self-Efficacy

2017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이 지각한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 경기 · 강원 · 충남 · 전남 · 세종 · 대전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였으며, 총 463명으로부터 얻은 테이터를 통해 본인이 지각한 성역할태도, 진로태도성숙,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측정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한 뒤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남녀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목적성과 독립성은 유의하였으나, 준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진로태도성숙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남학생은 성역할태도에서 결정성, 확신성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은 성역할태도와 결정성, 확신성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학생은 성역할태도와 결정성, 확신성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남녀학생의 평등적인 성역할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진 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관련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진로태도성숙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1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