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봉기(蜂起) 매체의 도구적 특성과 활용의 과제

2020 
이 글은 한국 사회의 근현대 삶 속에 발현된 변혁적 에너지, ‘파괴 후/또는 재 생’이라는 전환적 원리를 바로 이 시민 봉기의 결집 과정을 관찰하는 가운데 발 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봉기는 그것에 대한 역사적 판단의 상대성으로 인해 어느 특정한 현상에 비추어 정의되기 어렵고 그것의 발생기간 과 참여주체가 확정되는 것 역시 다양한 이견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봉기의 형태로 포착되는 집결체 발생의 이유와 유의미성 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그것 의 생성과 운용 원리의 측면을 조명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 여 이 글에서는 바로 그 봉기에 참여하는 이들을 연결하는 방법적 측면에서 매체 라는 도구와, 그것이 전투의 무기이자 연대의 방편으로 사용되면서 발휘되는 속 성을 간취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근현대 사회에서 봉기의 매체 로 사용된 도구들에 관한 연구 자료나 봉기의 매체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문화적 실행 사례들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이어지는 장들에서 그 검 토와 분석 결과로 간취할 수 있는 한국 봉기 매체의 작용적 특성에 대한 두 가지 논점과 현재적 진화 양상을 정리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봉기의 매체가 차츰 표상 화되는 방식으로 진화해간다는 점, 그리고 봉기가 그 주체들의 생존 마지노선에 서 폭발적 변혁성을 발생시킨다는 점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매체 유용성을 편 파적으로 강탈하거나 오용하는 양상이 산재한 한국 사회에서 비판적 매체 활용 을 위해 고려해야 할 지점을 반(反)-봉기 매체의 특성과 함께 논의해 보았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