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사의 수업 발문 반성 및 실천적 방안 탐색 - 온라인 수업 담화를 중심으로 -
2021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실험과 모둠 활동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 상호작용으로 학생의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의 고민과 반성 및 실천적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A 교사는 경력 4년차의 5학년 담임이면서 그 학년의 과학 교과 연구를 담당 중이다. 연구자는 A 교사의 교육 신념 및 수업 발문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발문에 대한 인식 설문, 선호 발문 유형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과 검사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쌍방향 원격 수업은 총 3회 녹화하여 교사의 발문 내용, 피드백 방법, 전체 수업 상황 등을 파악하였다. 수업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진도표, 교사 수업 일지, 수업 시 사용한 PPT 자료도 수집하여 수업 관련 자료를 모두 탐색하였다. 그리고 A 교사의 반에 속한 학생 2명을 면담하여 과학 창의성과 A 교사의 수업 방식에 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쌍방향 원격 수업을 전사하여 분석한 자료, 학생 면담 자료, 교사 반성 일지는 A 교사와 연구자가 다음 수업을 준비하며 협의회를 할 때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 총 3회에 걸친 수업 협의회는 A 교사와 연구자가 전 수업을 돌아보고 다음 수업을 계획하면서 반성과 고민, 이에 대한 실천적 해결 방안을 탐색한 대화를 담고 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수업이 40분에서 30분으로 줄어들어 교사가 발문 후 학생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이 매우 짧았으나, 다음 수업에서는 여러 도구로 이를 개선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가 발문하면 1명의 학생이 가장 먼저 정답에 가까운 답변을 하였는데, 교사도 그 학생에게 정답이라는 피드백을 주어 다른 학생의 사고 기회를 차단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반성하고 다음 수업에 반영하여 골든벨판, 채팅창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반 전체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셋째, 교사의 발문이 과학 교육과 정에 의존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해당 학습 내용이 지식 및 개념 위주일 경우 교사가 폐쇄적 발문을 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 또한 다음 수업에 개선점을 적용하여 개방적 발문이 늘어나게 되었다. 넷째, 평가적 발문은 여러 번의 수업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 유형의 발문을 수업에 사용하기 위해 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문과 관련된 교사의 반성이 초등과학교육과 창의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