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age Characteristics of Twitte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Gender, Age, and Brand Preferences

2016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nalyze the users of SNSs. By doing so,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the users can be understood, which can help companies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services that they need or are relevant for them.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age behavior of Korean Twitter users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it. For this research goa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users of Twitter and the data about their actual usage were collected using the open API of Twitter. Factor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five factors that explain about 69.3% of the usage variables. It was also investigated how the factors are related to gender, age, and brand pre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age behavior of Twitter is largely affected by age (p<0.001), and also by gender through an interaction effect (p<0.05). Also, the factor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s with the brand preferences of the users.       인터넷 환경은 2000년대 중반의 Web 2.0 시대를 지나 이제 소셜 및 스마트 모바일 시대에 이르렀다. 특히 많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가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SNS)에 접속한 채 매일 상당한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교류 활동뿐 아니라 뉴스 및 정보 공유, 쇼핑 등 매우 다양한 활동들을 수행하는 데 활용된다[1]. SNS는 현재도 점점 성장해 가는 추세이며 사회 및 경제의 다방면에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개인들에게 SNS가 다양한 편익과 가치를 제공해 주는 반면, 기업들에게는 SNS를 통해 고객들을 만나고 소통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SNS는 그 특성상 네트워크 관계를 통해 매우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며, 풍부한 기능이 있고, 사용자들이 직접 원하는 종류의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SNS에서 전통적 미디어에서와 같이 일방향적이며 무차별적인 고객관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로서는 SNS 상에서 고객들을 잘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 및 차별화된 고객관리 활동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로 사용자들의 구매 및 평점 정보에 의존해 왔던 협업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과 같은 개인화 기법을 확장시킬 수도 있다[1, 2].이와 관련하여 SNS 상에서 사용자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최근에 많이 수행되고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19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