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실시간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 탐색

2021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시각적 피드백과 교수자 피드백은 학습자의 참여도와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그 효과가 검증되어왔다. 그러나 토론활동은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토론활동을 통해 드러나는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과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그 교육적 효과가 보다 더 명확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성찰적 사고 수준이 서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질적 차원에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0년 2학기에 A대학교에서 개설된 교양교과목 ‘인간삶과 교육’을 수강하는 4개 분반 학습자 115명이다. 온라인 토론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2개 분반(64명)에는 시각 및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다른 2개 분반(51명)에는 교수자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토론활동 이후 성찰활동을 수행하도록 안내 받았으며,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내용을 Kember와 그의 동료들의 성찰 수준 모델을 재구성한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 중 8명의 자발적 참여자를 모집하여 4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의 공통적 특성으로 ‘비성찰’과 ‘이해 성찰’ 수준에서 ‘공감과 차이에 대한 느낌형 성찰’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빈도는 낮았으나 ‘비판적 성찰’ 수준에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형 성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찰’ 수준에서 시각 및 언어적 피드백 집단은 ‘나-동료 상호작용 중심의 과정 성찰’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으로 더욱 명료해지는 내용 성찰’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자 피드백 집단은 ‘나-주제 상호작용 중심의 과정 성찰’과 ‘주장의 합리성에 대해 내재적으로 검토하는 내용 성찰’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피드백 유형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성찰 수준별 특성이 갖는 의미를 논의하고,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토론시스템의 피드백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