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긍정성 공명 척도의 타당화 연구

2020 
본 연구의 주 목적은 Fredrickson(2016)의 긍정성 공명 이론을 바탕으로 Major, Le Nguyen, Lundberg와 Fredrickson(2018)이 제작한 긍정성 공명 척도(Positivity Resonance Scale)를 한국판으로 번안 및 타당화하는 데 있다.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 모형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 모형의 모형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한국판 긍정성 공명 척도의 1요인 구조를 확정하였다. 공존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긍정성 공명은 긍정 정서, 정신적 안녕, 사회적 유대감, 관계 유능성과는 정적 상관을, 부정 정서, 우울, 외로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성 공명은 긍정 정서를 통제하고도 유의한 증분 설명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판 긍정성 공명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