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편 : 한국인의 최대운동부하에 대한 심 · 폐기능의 반응에 관한 연구 - 최대산소섭취량 , 심기능반응 및 심 · 폐적성 (肺適性)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

1993 
한국인의 VO₂ max와 최대운동부하에 대한 심기능 반응의 성별, 연령별 참고치와 신체적성(심·폐적성) 수준 평가의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건강한 한국인 남녀 731명을 대상으로 Bruce법에 의한 증상제한성 최대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VO₂ max, 최대 운동시간, HR max 및 O₂ pulse max를 계측하였으며, 이들 대상자들의 RER max는 모두 1.05 이상이었다. 남자 425명(연령 : 39.1 ±9.86세)의 최대운동시간의 평균(±표준편차)은 14.8±2.25분이었고, HR max는 187±12.3회였으며, VO₂ max 및 O₂ pulse max는 각각 51.33±8.77 ㎖/㎏/min 및 18.8±3.07ml/beat였다. 여자 306명(연령 38.4±10.41세)의 최대운동시간은 12.8±1.90분이었고, HR max는 183±11.7회였으며, VO₂ max 및 O₂ pulse max는 각각 43.09±6.76 ㎖/㎏/min 및 13.1 ± 1.96 ㎖/beat이었다 최대운동시간, HR max및 VO₂ max는 모든 연령군에서 여자보다 남자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남녀에서 다 같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리고 연령을 변수로 한 운동시간, VO₂ max 및 HR max의 회귀방정식에서, 남자는 매년 운동시간은 5.71초, VO₂ max는 0.42 ㎖/㎏/min, HR max는 분당 0.77회 감소하고, 여자는 각각 4.45초, 0.37 ㎖/㎏/min, 0.81회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자들의 성적을 토대로 최대운동부하 검사를 하지 않고 VO₂ max(㎖/㎏/min)를 예측하는 다중회귀방정식을 구해 보면 남녀에서 각각, VO₂ max=91 - 0.40×나이 - 0.34×체중(r=0.58, SEE=7.20), VO₂ max = 67 - 0.35×나이 - 0.18 × 체중 (r=0.62, SEE=5.34)이었고, 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운동시간(초)을 변수로 해서 VO₂ max를 추정하는 회귀방정식은 남녀에서 각각, VO₂ max=11.25+0.045×운동시간 (r=0.69, SEE =6.32), VO₂ max = 13.18+0.039×운동시간 (r=0.66, SEE=5.09)이었으며, 운동시간, 나이, HR max, 그리고 그 밖의 변수를 첨가해서 VO₂ max를 추정하는 회귀방정식은 남녀에서 각각, VO₂ max=25+0.035×운동시간-0.16×나이-0.16×체중+0.06×HR max (r=0.74, SEE=5.93), VO₂ max=9+0.028×운동시간-0.18×나이+0.11×HR max (r=0.76, SEE=4.41)이었다. 한편 심·폐적성 수준을 평가하는 보다 더 상세한 기준을 마련해 보기 위하여 최대운동시간 및 VO₂ max를 남녀에서 각 연령군별로 5백분위수 단위로 나누어 표시하였고, 아울러 최대운동시간과 VO₂ max는 그들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심·폐적성 수준을 5범주로 나누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의 성적을 국내외의 선행연구자들의 그것과 비교해 보면 HR max는 비슷하였으나 VO₂ max는 남녀 모두에서 보고된 성적보다 높았는데, 그 주된 원인은 운동시간이 선행연구자들의 그것보다 길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실로 보아 한국인에서 VO₂ max나 최대운동시간을 기준으로 신체적성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외국인의 성적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성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는 동시에 저자들의 VO₂ max의 성적이 선행연구자들의 그것보다 많았던 원인에 대해서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