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수립기 이상적 ‘여성공민’ 상의 성격과 인식
2021
일제강점기 조선은 군국주의 독재 하에 있었다. 미군정은 이러한 조선의 정치체제를 변화시켜 자 본주의와 ‘미국식 민주주의’를 이식하고, 친미정권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미군정은 보 통선거를 실시하여, 조선에 새 정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여성에게도 참정권이 부여되어, 남성과 같이 ‘공민’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여성이 참정권을 가지게 되면서 여성의 지위와 역할, 가 정과 국가에서의 지위 또한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1945년 해방 후 들어선 미군정은 여성에 게 참정권을 부여하고, 공민교육을 실시하였다. 이시기 공민교육은 공민교과서는 일제의 그것과는 달리 남녀용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남녀 모두 일반적 공민교육을 받아야한다는 의식의 반영이었다. 따라서 여성에게도 ‘공민’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이 강조되었다. 공민은 참정권을 통해 정치적인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여성에게도 정치교육이나 민주주의 교육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여 성의 ‘근본적’인 역할은 여전히 가정을 지키며, 남편내조와 아이 육아에 힘쓰는 현모양처상을 크 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정부수립기 정부 인사들은 표면적으로 어떤 분야든지 여성의 사회진출에 장 애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들 역시 여성의 ‘사명’은 가정을 돌보고, 아이를 키우 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정부가 여성을 남성의 보조자가 아닌 한사람의 공민으로 인식하고, 어떤 분야라도 여성이 활동하는데 차별을 두지 말아야한다고 표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 다. 한편, 정부수립기 남성과 여성 모두는 이상적 ‘여성공민’은 개인보다는 국가와 민족에 대해 생 각하고 희생적인 현모양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여성’의 역할에 대한 남녀의 인식에 는 차이가 있었다. 남성들은 여성의 정치·사회적 진출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또 한 여성의 참정권 획득과 여성의 정치참여에도 부정적인 자세를 보였다. 이에 비해 여성은 참정권을 바탕으로 정치적 입지를 넓히고, 보다 폭넓은 사회참여를 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정치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와 노동 분야에도 참여할 수 있 기를 희망했다. 여성들은 이에 필요한 실력을 기르기 위해 여성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이 러한 활동을 통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실력을 가지고, 정치와 사회, 경제 등의 분야에서 남녀평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정부수립기 여성 역할은 일제강점기와 같이 가부장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으로서 인정받고, 남성과 동일한 정치교육을 받게 되었다. 또한 명분상으로나마 사회진출의 폭도 넓게 인정되었다. 이것은 여성들의 인식에도 일정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참 여가 가능하게 되자 여성들은 미약하나마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경제 및 노동시장 진입의 폭을 넓히기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이후 여성의 정치, 경제적 지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