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 시위의 사회적 미메시스 특성 연구

2016 
본고는 2015년 4월 스페인에서 일어난 세계 최초의 가상현실 시위 에 나타난 사회적 미메시스의 특성 해명을 목표한다. 사회적 미메시스는 독일 철학자 게바우어와 불프가 제안한 개념으로 이들은 예술철학의 주 이론인 미메시스가 모방적 재연 기법으로 왜곡된 채, 혁신의 저장고로 역할 하는 사회적 영향에 대한 사유는 위축되고 있음을 문제시 했다. 미메시스의 사회적 과정은 관계 맺기와 행동하기의 순환, 연극과 놀이, 의례 등 다양한 공연 형식을 창안하며 개인적 다양성과 공동체의 보편성 사이에서 서로 다른 세계의 균형과 연결을 창조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갖는 까닭에 감각적 기술 매체가 성장하는 현 시기에 이르러 다시금 주요한 철학적 화두로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높은 수준의 신체, 감각, 상호작용적 미메시스를 실현하는 가상현실의 본질에 주목하여, 기존 관습에서 당연시 되는 문제를 재인식하고 그 개선을 위한 행동을 고안하는 사회적 미메시스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사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은 지지자들의 데이터를 공개적, 자발적 방식으로 수집하여 참여자와 관람자들이 별도 장비 없이 현실-가상의 투명한 스크린 경계를 초월적으로 넘나들며 시위 현장을 직접 경험하도록 연출한다. 또 실제 사건에 관한 극적서사를 바탕으로 게임 미학의 다양한 특징들을 반영하여 물리적 신체와 가상적 신체, 시위 연출자와 참여자, 목격자 그리고 억압 세력과 저항 세력 사이에서 펼쳐지는 숨바꼭질 놀이가 구성된다. 은 법 개정을 막지 못했지만 자유를 억압하는 권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위를 새로운 사회 의례로 탄생시켰다. 정부가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권력에의 저항 수단으로 상황에서 현실의 나 보다 더 많은 자유를 누리는 가상시위대를 출현시켜 감각적 문제 인식과 관계 확장, 그에 이어지는 실천 행동을 지원하는 사회적 미메시스를 실현한 것이다. 특히, 은 비모범적 대상을 미메시스 하는 경우에도 부정적 상황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맞서 저항함으로써 내면의 면역을 강화하는 사회적 미메시스의 본질적 특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