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암 환자의 종양조직 특이 단백질 발현 검색

1998 
저자들은 1995년 12월부터 1997년 2월까지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에서 시행한 자궁내막암 환자 1예, 자궁경부암 환자 2예, 난소암 환자 1예, 양성 난소종양 2예, 경계성 난소종양 환자 2예, 전이성 난소암 1예 등 총 9예를 대상으로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 방법으로 단백질 발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내막암 환자(lane 2, 3)에서는 12 kDa, 25 kDa, 31.5 kDa, 51.5 kDa, 62 kDa, 72 kDa의 단백질 에서 up-regulation 현상과 34.5 kDa의 새로운 단백질 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2. 자궁경부암 환자(lane 4, 5)에서는 12 kDa, 25 kDa, 31.5 kDa, 51.5 kDa, 62 kDa, 72 kDa 단백질의 과발현 혹은 up-regulation 현상과 40 kDa 단백질의 down-regulation 현상이 각각 관찰되었다. 또한, lane 7 환자에서는 43.5 kDa, 62 kDa 단백질에서 과발현 현상이 관찰되었다. 3. 양성 난소종양 1예(lane 8, 9)에서는 18.8 kDa 과 40 kDa 단백질이 down-regulation 되었으며, 또 다 른 1예(lane 12)에서는 14 kDa과 67 kDa을 제외한 거 의 모든 단백질의 발현이 down-regulation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4. 난소암 환자 1예(lane 10, 11)에서는 18.8 kDa, 24 kDa과 38 kDa 단백질의 up-regulation 현상이 관찰 되었다. 5. 경계성 난소종양 2예(lane 13, 14)에서는 31.5 kDa 단백질의 down-regulation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24 kDa(lane 13)과 42 kDa(lane 14) 단백 질의 up-regulation 현상이 관찰되었다. 6. 전이성 난소암 1예(lane 15)에서는 다른 난소종 양 5예에서와 매우 유사한 단백질 발현을 보였으나, 42 kDa과 72 kDa 단백질의 발현에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와 같이 공통적으로 단백질 발현에 증가나 감소가 일정 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난소종양의 경우 환자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 발현변화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암을 일으키는 유전 자의 다양성으로 인해 같은 종류의 암세포에서도 서 로 다른 단백질 발현 양상을 나타내게 하는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