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연구 II :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을 위한 중소도시 지역 질적 연구

2019 
본 연구는 2018년도에 수행된 지역사회 기반 학교 밖 청소년 지원모델 개발 기초조사의 2차 년도 후속연구로서 1차 년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소도시에 적절한 학교 밖 청소년 지원모델을 모색하고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중소도시는 경제적 요건, 인프라의 질적⋅양적 수준, 지역과의 연계정도가 다양하여,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모델 역시 도시 마다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어떠한 자원과 기회가 분포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지원체계를 파악한 후 중소도시 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지역사회 차원의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지역특성 및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국가통계자료 등의 문헌조사를 통하여 지역적 특성과 학교 밖 청소년에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연구의 진행계획을 수립하고 3개의 연구대상 중소도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종사자들을 심층면접 하였고 더불어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지역 연계기관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도 심층면접 하였다. 심층면접 내용으로는 지역⋅기관⋅유관기관 현황, 이용 청소년의 특성, 기관 서비스의 운영현황 및 애로사항, 기관 성공모델과 성공요인, 지자체와의 네트워크 정도⋅지자체의 정책의지⋅지원하는사업, 청소년 지원체계의 발전방향, 연계기관의 사업유형 및 학교 밖 청소년 관련사업, 학교 밖 청소년 연계과정, 학교 밖 청소년 관련사업 사후관리⋅지속의향⋅애로사항 등에 관한 내용이다. 심층면접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 중소도시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 방향은 아홉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전용공간 확보. 셋째, 모든 청소년 연령대의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사업. 넷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전문 인력 확보. 다섯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기능 확장. 여섯째, 예산 확보. 일곱째, 지자체와의 협력적인 관계. 여덟째, 인적 및 물적 자원 인프라 구축. 아홉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실무자의 역량 향상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 중소도시 지역사회 지원모델을 세 가지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정부 및 민간사업 유치형이다. 두 번째 유형은 지역 네트워크 발굴을 통한 기관 자립형이다. 세 번째 유형은 정부 및 민간사업 유치를 통한 지역 네트워크 확산형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