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굴절교정학 콘택트렌즈가 근시 및 난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

2011 
목적: 각막굴절교정 렌즈 착용이 근시진행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근시 및 난시를 대상으로 각막굴절교정 렌즈를 1년 이상 착용한 144안을 착용 전과 렌즈착용을 중지한 지 2-4주 후에 조절마비 굴절검사 및 각막곡률반경을 측정하여 굴절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근시 및 난시를 안경으로 교정한 대상을 대조군으로 190안을 선정하여 렌즈착용 군과 비교하였다. 나이, 근시 및 난시와의 관계, 근시 및 난시의 진행과 착용시간과의 연관성을 각각 비교 하였다. 결과: 각막굴절교정 렌즈를 사용한 대상의 구면렌즈대응치은 평균 -3.36±1.96D였으며, 난시는 평균 -0.86±0.72D, 기간은 평균 3.41±1.5년이었고 나이는 평균 10.31±2.37년이었다. 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1년간 근시진행은 평균 0.25±0.31D로 대조군 0.62±0.39D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test, p<0.01), 난시진행도 렌즈를 착용한 군이 평균 0.06±0.2D로 대조군 0.15±0.21D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test, p<0.01). 두 군 간의 나이, 근시·난시의 양 및 진행 정도, 착용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test,p>0.01). 결론: 한국인에 있어서 각막굴절교정 렌즈는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근시와 난시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