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형성 과정

2011 
본 연구는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형성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I광역시 Y구에 있는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이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학습공동체``의 구성 및 운영방법에 대한 협의와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면담은 2주에 1회씩 한 명의 교사가 발표를 하고, 다른 교사들은 토의 활동을 하면서 질의응답을 통해 수업관찰과 협의를 통한 반성과 재투입 과정이 반영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협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간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구성에서부터 실행에 이르기까지 연구 참여자의 생각과 느낌을 알아보고자 Spradley(1979)가 제안한 문화기술적 인터뷰 방식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 학습공동체: 시스템 만들기에서는 학습공동체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참여하면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학교 현장에서 수업방법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는 자발적 교사문화를 형성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협력적 학습 공동체: 실천으로 옮기기가 범주화되었다. ``학습공동체``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줌으로써 동반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 되었다. 셋째, 반성적 학습 공동체: 의미와 방향 찾기로 이루어졌고, 이는 교육과정에 대한 무관심과 교수·학습에 관한 오류, 틀에 박힌 수업 전개에 대한 반성적 과정을 통해 체육교사로서 한 단계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