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 점검 및 자기평가 분석
2021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을 파악하고 일체화 실행수준에 대해 스스로 어떠한 평가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교육경력, 학교급, 일체화 관련 연수 이수 경험, 일체화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경험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관련 실행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배경변인들이 일체화 실행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방법 설문조사는 관심기반실행모형에서 제시하는 실행수준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실행수준을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절차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문항을 이용하여 각 요소별 실행수준에 대한 자기평가를 확인하였다. 설문진행은 2019년 8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대상 학교는 ○지역 중학교 5개교, 고등학교 5개교였다. 중학교 교사 110명, 고등학교 교사 132명으로 총 242명의 응답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결과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학교급에 상관없이 교사들의 실행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고급수준인 갱신단계(6수준)에 이르는 비율이 극히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학습자중심 수업 수행여부와 일체화에서의 모든 요소들을 연계하여 운영한다는 응답비율에서도 고등학교 교사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일체화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일체화 요소들을 더 긴밀하게 연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경력, 일체화 관련 연수,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모두 실행수준 0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효과를 보이고 3, 4, 5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결론 제언사항은 첫째, 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관련 실행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교사 연수나 교사학습공동체와 같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회를 확대하여 제공할 것, 둘째, 연수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있어서 목표, 내용, 주제, 수준을 다양화하고 각각을 전문화⋅차별화하여 구성할 것, 셋째,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에서 수업이 나머지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 및 수업방식과 일체화 요소 간 연계성에 대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시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