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 및 기준작물증발산량 민감도 분석

2011 
기후변화에 따라 연간강수량의 변동 폭이 커지고 강우강도가 증대되어 홍수와 가뭄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점차 커짐에 따라 전체 수자원의 약 50%를 차지하는 농업용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미래 기상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수자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미래 기상자료 모의를 위한 전지구 모형들은 공간 해상도 및 적용국가에 따라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미래 기상자료를 이용할 때는 기후자료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어야 하며, 또한 기후변화자료를 농업용수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따른 유출량과 기준증발산량의 민감도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99년까지의 다양한 미래 기상자료를 각 도별 대표 저수지 8개소에 적용하여 유출량 및 기준작물 증발산량을 산정하고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래 기상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역기후모형(RCM)인 MM5와 일본에서 개발한 전지구기후모형(GCM)인 MIROC3.2를 LARS-WG와 CF 상세화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축된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유출량과 기준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유출량은 유역면적과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을 고려하여, 계산이 명확하고 수문현상을 잘 재현한다는 점에서 모형의 객관성을 인정받고 있는 3단 TANK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일 단위 수요량이 계산 가능한 FAO Penman-Monteith 공식을 이용하여 기준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량 및 기준작물증발산량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다양한 미래 기상자료에 따른 유출량 및 기준작물증발산량의 민감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