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한글 창제 :동아시아 제 민족의 문자 교류와 훈민정음의 제정을 중심으로

2014 
이 논문은 오늘날 한글이라 불리는 새 문자의 제정에 대하여 그 배경을 살핀 것이다. 한글 제정의 배경에는 오랜 세월에 걸쳐 한자문화에 대항하는 중국 북방민족의 노력이 있었다. 이들 여러 민족은 계속해서 표음문자를 모색하여 왔고 그 결실로 한글이 탄생한 것이다. 특히 중국에서 왕조의 변천에 따른 표준어의 변화와 그로 인한 새로운 漢語 교육의 필요성이 이와 같은 새로운 문자의 제정으로 가져온 것으로 보았다. 즉, 몽고의 元 나라가 北京에 도읍하면서 새로운 중국어로 漢兒言語[haneryanyu]가 등장하였다. 이 말이 帝國의 公用語가 되면서 한자 발음은 우리 한자음과 중국의 漢音이 매우 차이가 나게 되었고 세종은 우리 한자음을 고쳐서 중국의 漢音에 맞추려고 하였다. 이것이 東國正韻식 한자음이고 이 한자음을 백성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바른 소리로 보아 訓民正音이란 명칭을 얻게 된다. 그리고 중국 한자음의 正, 俗音을 구별할 때에 표준적인 정음을 표기할 때에는 正音 으로도 불리었다. 訓民正音이던 正音이던 모두 발음기호의 성격이었다. 그러다가 우리말의 전면적인 표기에 쓰이게 되면서 諺文이라 하다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이 된 것이다. 한문을 읽을 때에 중국어에는 없는 助詞와 語尾 를 붙여 읽기 위하여 마련한 口訣 吐를 달 때에는 變音吐着이 난제였다. 이를 새로 제정된 문자로 해결한 다음 새 문자로 우리말의 전면적 표기로 나아갔다. 우리말 표기에 쓰인 새 문자는 諺文이란 문자 명칭을 얻게 되었다. 이 명칭은 漢文에 대한 겸양적인 표현으로 볼 수 있다. 그때에 『釋譜詳節』과 『月印千江之曲』을 통하여 새 문자로 우리말과 동국정운식 한자음의 표기를 실험하였으며 세종의 생존 시에 간행된 {舊卷} 『月印釋譜』에 이란 제목으로 언해본을 첨부하여 반포에 대신하였다. 세종 28년 10월로 보이는 『月印釋譜』의 간행과 새 문자의 공표는 12월에 실시되는 吏科와 取才에서 훈민정음의 출제로 이어진다. 이 문자는 정식으로 반포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한자 문명의 회복을 외치며 몽고의 元 을 멸망시키고 새로 漢族의 나라를 세운 明을 의식하였기 때문이었다. 결국은 明의 눈을 속이기 위하여 佛書인 『月印釋譜』의 권두에 을 첨부하고 이를 간행함으로써 문자의 반포를 대신하였다. 그리고 새 국가의 건설과 더불어 자신들의 추종 세력에게 이 문자를 교육하여 시험하고 그들을 관리로 임명함으로써 지배계급의 물갈이를 도모하는 북방민족의 전통을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