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조 사랑노래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

2013 
이 글의 목적은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웃음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한 베르그송의 이론에 기대어 웃음이 나타난 사설시조 사랑노래 텍스트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텍스트를 분석하는 가운데 다음 사실을 논하였다. 첫째, 웃음은 통속성을 강화하는 구실을 한다. 웃음은 텍스트 안에서 기본적으로 진지하거나 엄숙한 것을 깨뜨리고 무거운 분위기를 누그러뜨린다. 여기에 재미와 즐거움이 있다. 그래서 당대 윤리규범에 비추어 외설적인 내용마저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수용될 수 있었다. 이런 까닭에 웃음은 사설시조의 내용적 분위기를 저속하게 만드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이로써 사설시조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며 공감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둘째,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나타난 웃음은 ‘자기풍자(self-parady)의 웃음’이다. 화자는 ‘종장의 반전’ 속에서 자기 자신마저 우스꽝스럽게 만들고 있다. 문제는 화자가 자신을 남들에게 웃음거리로 제공하는 것이 ‘의도적’이라는 데 있다. 이처럼 기꺼이 자신을 우스꽝스럽게 만든다는 것은 그러한 웃음이 자신에 대한 풍자의 의미를 지님을 뜻한다. 여기에서 ‘자기풍자’란, ‘언제든 모방의 텍스트가 될 수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는 가운데, 자신을 웃음거리로 내어놓아 조롱하며 비판하는 동시에 연민하고 반성하는 비평적 태도’이다. 셋째, 자기풍자의 웃음은 크게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그것은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 이는 화자가 자신을 웃음의 대상으로 제공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2) 그것은 사랑노래 사설시조의 문제적인 내용으로 말미암아 사회적 비난이나 공격이 예상되는 때에는 그에 따른 부담감이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구실을 제공한다. (3) 자기풍자의 웃음은 작중의 비극적 상황에 대해 객관적 거리를 제공하며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삶의 비감에만 함몰되지 않게 한다. 더 나아가 자신에 대한 조롱과 비판 속에서도 연민과 긍정을 놓치지 않는다. 이로써 화자는 두 가지 엇갈리는 목소리 속에서 드러났던 자기분열을 극복하고 삶의 균형감을 회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