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대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산림성 조류의 가장자리 선호도 분석

2006 
본 연구는 중부 온대활엽수림을 대표하는 광릉 숲을 대상으로 산림성 조류가 숲의 내부와 가장자리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분석하고, 숲의 단편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가장 자리 선호도에 따라 서식지 특이종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조류의 풍부도는 숲의 내부와 가장자리에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이는 숲 내부와 가장자리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일반종의 출현 여부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따라서 산림의 단편화가 산림성 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체 조류군집의 풍부도를 확인하는 것보다 특정 환경을 선호하는 서식지 특이종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선 조사법과 정점 조사법에 의해 얻어진 숲 내부와 가장자리의 서식밀도를 기준으로 서식지 특이종을 파악한 결과 숲새(U. squameiceps), 흰배 지빠귀(T. pallidus), 진박새(P. ater) 등 3 종이 숲 내부종으로 나타났으며 까치(P. pica), 꾀꼬리(O. chinensis)의 2 종은 숲 가장자리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광릉 숲으로 대표되는 중부 온대활엽수림의 단편화에 의한 산림성 조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식지 특이종으로 파악된 종을 대상으로 한 분포와 번식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특히 숲의 내부에 강한 선호도를 보이는 종에 대한 조사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understand the effect of forest fragmentation on forest-dwelling birds, it is more effective to analyze on the selected specialists than on the whole bird community. We investigated the edge preference of forest-dwelling birds to discriminate habitat specialist species in the interior and on the edge of temperate deciduous forests in central Korea. Point count and line transect census were conducted at Gwangneung forest from February to October. Our result shows that there was no consistent tendency in abundance of birds between in the interior and on the edge because of the different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he high proportion of habitat generalists. Five habitat specialists in 73 bird species were identified by the differences in both population densities; three forest interior and two forest edge specialists. Asian Stubtail Warblers (Urosphena squameiceps), Pale Thrushes (Turdus pallidus) and Coal Tits (Parus ater) were included in the forest interior group, but Black-billed Magpies (Pica pica) and Black-naped Orioles (Oriolus chinensis) were classified as the forest edge group. We suppose that a selective monitoring on patterns and changes in spatial use of these five habitat specialists is need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forest fragmentation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s. And, moreover, systematic monitoring methods for field surve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point count method and line transect census to ensure the equality of data.】
    • Correction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