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한(來韓) 선교사의 교육선교(1884-1940)

2015 
본 논문은 선교사들의 입국과 동시에 한국에서 시작된 미션스쿨을 통해 전개된 교육선교의 역사를 분석하고 평가한 후,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한국교회가 추진하고 있는 교육선교 상황에 대해 주는 선교적 교훈과 의미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최초의 선교사 알렌이 내한하는 1884년부터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로 인해 선교사들이 추방당하는 1940년까지의 교육선교 역사를 개관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근대식 교육 도입과 확산에 큰 공헌을 한 미션스쿨의 역사를 간단하게 살핀 후, 미션스쿨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들과 마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한국에서 채택한 교육선교 정책을 통시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일제하의 미션스쿨이 직면했던 문제들이 오늘 한국교회의 교육선교 현장에 주는 교훈과 과제를 제안한다. 이울러 1910년 에딘버러(Edinburgh) 세계선교사대회의 제3분과(“교육”)가 분석한 인도, 중국, 일본에서의 교육선교 평가를 통해 교육선교 현장에 주는 시사점도 살펴본다. 이러한 제안을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교육선교가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가기를 소망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선교적 교훈을 바탕으로 오늘의 한국교회 교육선교에 주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1) ‘창의적 접근 지역’에서 교육선교의 장점을 활용해야 한다. 2) 미션스쿨 설립시 선교의 목표와 대상을 어느 계층에 둘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3) 미션스쿨이 정규학교 인가를 받는 경우 성경교육에 어떤 제약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미션스쿨의 재정자립도를 점진적으로 높여나가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5) 상황에 따라 교회를 먼저 세우기보다 방과후학교나 유치원을 운영할 수 있다. 6) 현장의 필요에 따라 초등교육부터 중등·고등 교육기관까지 연계 교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7) 미션스쿨의 설립목적을 유지하기 위해 불신가정의 학생비율을 정해야 한다. 8) 교파주의를 뛰어넘어 연합과 협력의 정신으로 교육선교 사업을 추진하라. 9) 초등교육에서는 영어를 사용하지 말고 초등교육과 상급 교육기관의 성경교육은 현지어를 사용하라. 10) 직접적인 복음전도(평양 숭실대학)와 일반 교양교육(서울 연희전문학교)의 두 고등교육기관 중에서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라.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