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장 영양을 위해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 삽입 후 발생한 부작용 3례

2016 
배경 및 목적: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에 의한 경장영양 지원이 증가함에 따라 Levin tube에 의한 경장영양 공급시 발생빈도가 높았던 소화관 출혈 또는 협착 등의 합병증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에 의한 호흡기계 부작용 발생 증례가 증가하고 있어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는 본원에서 경험한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으로 인한 합병증 증례를 보고하고 합병증 발생 예방을 위한 원내 프로토콜을 소개하고자 한다. 결과: 증례 1 : 77세 남자가 발열을 주소로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하였고 흉부 방사선 검사상 흡인성 폐렴 소견이 관찰되었다. 뇌경색에 의한 반복적 음식물 흡인에 대하여 Levin tube에 의한 경장영양 지원 중 이었다. 입원 5일째 자발적으로 Levin tube를 제거하여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을 삽입하였다. 삽입 후 물 50ml을 주입하자 급식관에서 신선혈이 관찰되었고 생리식염수로 세척을 시행하였다. 환자가 지속적인 복통을 호소하여 흉부 및 복부 방사선 사진촬영을 시행한 결과 급식관이 기관지를 경유하여 흉막강까지 삽입되어 있었고 기흉이 동반된 소견이 관찰되어 급식관을 즉시 제거한 후 흉관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증례 2 : 82세 여자가 요양병원 입원 중 좌측 팔 골절 소견으로 정형외과에 입원하였다. 지속적인 흡인에 의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였고 입원 7일째 호흡기 내과로 전과 되었다. 심한 영양 결핍 및 지속적인 흡인 소견에 대하여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을 삽입하여 경장영양지원 할 것을 계획하였다. 급식관 삽입 6시간 후 경장영양액 250ml 및 물 50ml 주입하였으며 이후 38.2`c로 발열 소견과 함께 산소포화도 불안정 상태를 보여 시행한 흉부 방사선 검사상 급식관이 흉강내로 삽입되어 있었고 흡인성 폐렴 악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즉시 급식관을 제거한 후 흉관삽입술을 시행하였고 금식 및 항생제치료를 유지하였다. 증례 3 : 56세 남자 환자가 호흡곤란 및 기침을 주소로 응급센터를 통해 입원하였다. 중환자실에서 흡인성 폐렴 악화소견으로 기관 삽관을 시행하였고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 삽입하여 경장영양 지원을 시도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흉강내과 급식관이 삽입되어 있었고 기흉 소견이 관찰되어 흉관삽입술을 시행하였다. 경비위관 삽입 건수 348.7건에 대하여 해당 기간내에 발생한 위해사건이 3건으로 보고되어 근본원인 분석팀이 구성되었고 개선전략으로 경비위관 삽입법에 대한 지침서를 작성 및 지침서 준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소구경 경비위관 경장영양 급식관에 의한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을 위하여 이단계 흉부 방사선 검사법을 시행하도록 권고하였다. 결론: 소구경 경비위 경장영양 급식관에 의한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은 발생 빈도가 많지 않지만 발생시 위중한 결과를 초래함으로 예방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 급식관 삽입 중간 그리고 삽입후 흉부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나 보다 효과적이며 안전한 방법에 대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Correction
    • Source
    • Cite
    • Save
    • Machine Reading By IdeaReader
    0
    References
    0
    Citations
    NaN
    KQ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