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행동적·인지적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와 결과변인인 학교생활적응 요인과의 관계에서 체육교사의 코칭유형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9년 중학교 학생 남녀 3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동적 참여는 인지적 참여,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학교생활적응 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규칙과 통제적 코칭유형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참여는 행동적 참여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통제적 코칭유형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은 통제적 코칭유형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나머지 변인들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제적 코칭유형은 학교생활적응 요인 중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수업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 요인들은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통제적 코칭유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통제적 코칭유형이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자율성지지 코칭유형을 경유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여덟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통제적 코칭유형을 경유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검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9년도 제61회 춘계 전국 중 · 고등학교 검도대회에 참가한 검도선수 258명이었다. 본 연구는 자율성지지 코칭유형, 통제적 코칭유형, 커뮤니케이션, 팀 응집력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율성지지 코칭은 팀 응집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팀 응집력에 유의하지 않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성 지지 코칭과 통제적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지지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을 경유하여 팀 응집력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유발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을 경유하여 응집력에 완전 매개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검도 훈련 현장에서 훈련 전 · 후 지도자와 선수들 간의 소통, 선수와 선수들 간에 소통할 수 있는 팀 문화가 조성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