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의 소비문화에 맞춰 개발된 컨테이너 팝업 몰인 ‘커먼그라운드’의 장소성이 방문자의 비계획적 소비경험인 몰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문자 인터뷰와 SNS검색 등을 통해 도출한 변수들을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10개의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도출 된 요인과 인구통계적 특성, 만족도 등의 변수를 사용하여 몰링체감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 쾌적성, 접근 · 편의성, F&B 차별 · 특화성, 인지 · 식별성, 최신 · 유행성, 이벤트 · 체험성, 여가 · 유희성의 요인은 몰링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 다양성, 홍보 · 정보성, 심미 · 경관성은 소비자의 몰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품구매 만족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200개의 컨테이너를 활용한 팝업 몰인 사례대상지의 특징이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몰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