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영항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B시 소재 K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320 명을 대상으로 배부하여 295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충분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한 29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공만족도는 학업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사회적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별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에서 정보적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ropharyngeal dysphagia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y in transfer of food frorn the mouth through the upper esophageal sphincter into the upper esophagus. Idiopathic pharyngeal
감성을 규칙적인 숫자로 변화하려는 감성컴퓨터 연구가 지속적이다. 감성컴퓨팅 방식으로 감성을 숫자화하고, 감성트리를 통해 실행했다. 감성컴퓨팅의 감성 평가는 James A. Russell의 핵심 효과(Core Affect)의 감성좌표를 활용했다. 감성트리 실행 목적은 감성컴퓨팅과 감성트리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감성트리 속성실험은 색상, 명도, 채도로 구성했다. 명도 50% 증가했을 때, 쾌정도(X축)는 10.49점 증가했다. 명도 50%, GREEN 50% 증가는 쾌정도(X축) 10.49점, 긴장도(Y축) 15.85점만큼 증가했다. 쾌정도(X축)에 명도 50%, 긴장도(Y축)에 BLUE 50%일 때, 쾌정도(X축) 10.49점, 긴장도(Y축) 14.65점만큼 감성이 변화했다. 대표감성크기 변화는 명도 50%, 색상 RED 50% 증가했을 때, 흥분 감성이 5.4% 증가했고, 우울한 감성이 -4.2% 감소했다. 명도 50%, 색상 GREEN 50%의 증가는 흥분 감성이 8.6%로 증가했고, 우울한 감성이 -5.5%로 감소했다. 감성속성 증감에 따른 감성변화와 대표감성크기를 숫자 방식으로 분석했다. 향후 영상 이미지 감성컴퓨팅의 실행인 감성트리를 통해 사람의 감성과 더 유사하도록 행복한 감성 숫자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We investigated the validation of Rome 3 criteria for diagnosis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Koreans. Methods: Total of 157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in the first time were enrolled. They filled out the Rome 3 diagnostic questionnaires of ROME Foundation. We evaluat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Rome 3 criteria in discriminating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rom organic diseases. Facto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symptom clusters of the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Results: The percentage of organic or functional disorders was 12% (19 patients) and 88% (138 patients)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Rome 3 criteria in discriminating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rom organic diseases for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was 60% and 53% each, and for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was 80% and 50% each. The percentage of overlap syndrome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was 49%. Twelve factors were detected except functional dysphagia, mixed-irritable bowel syndrome, proctalgia fugax in factor analysis. Conclusions: The Rome 3 criteria could be applied to Korean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The Rome 3 criteria in the diagnosis of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in Korean was found to be relatively sensitive.
The acid stained agents are able to make remarkably thin colored layers on concrete surfaces and have simple processes for applying them comparably. In this study, we’ve examined the changes and variations of acid stained agents by using them with metallic oxides and acid on surface of mortar specimens. The colors were changed into irregular stains and there were no shape differences as a result of visible inspections. Metallic oxides are distribution evenly. The surface hardness was become same and/or higher than specimens without acid surface painting. In aspect of chemical compositions, elements such as Ca, Si, and Al were become lower and elements such as Mn, Cr, and Cu, which are not components of concrete, were shown, and Fe element wa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