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development of electrical power system, the DC distribution system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technology to be used in the future smart distribution system.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comprising the DC distribution system, the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quipment to interconnect between main power system and various renewable resources such a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and electrical vehicles. In this paper, a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based on three-phases interleaved method which is effective to reduce ripple of input current and output voltage is modeled using 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EMTP), and the verification of model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is conducted.
Centering on KTX stations, Korea is implementing specialized development of metropolitan business zones nationwide and is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transfer link system of transportation in order to actualize intermodalism nationwide. Daejeon station, hub of high-speed railway requires the effective transportation transfer system considering Daejeon station area reorganization plan and opening of second phase high-speed railwa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and validity of building a transit center under the Transportation System Efficiency Act, it is necessary to make a mutual benefit in a regional development by installing the resonable transfer system between railway and other transportation service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s and techn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evaluation, design plan of effective transportation transfer system in Daejeon station is proposed.
본 글은 필자가 업무상 재해의 요건을 업무수행성과 업무기인성으로 파악하던 종래 학설 및 판례를 비판하며 업무관련성과 업무기인성을 요건으로 업무상 재해를 판단해야 한다는 논지를 전개하고, 이른바 규범설에 따라 그에 대한 증명책임을 분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글이다. 또한 인과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을 전환하는 입법안을 제시한 글이다. 필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의 입법 과정, 제5조의 변천 과정을 입법사적으로 분석하고, 제5조 및 제37조상 문언의 의미, 제37조의 체제(體制)?형식의 분석을 통하여 업무수행성이 더 이상 업무상 재해 요건으로 기능되어서는 안 되며, 업무수행성을 대체하는 요건으로 업무관련성을 사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7조가 업무상 재해를 업무상 사고와 업무상 질병으로 대별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업무상 사고에서의 업무관련성은 업무수행성의 외연(外延)이 상당 정도로 확장된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업무상 질병에서의 업무관련성은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친, 업무상 재해를 당한 근로자가 수행한 총체로서의 업무가 업무상 질병 발생의 기초 또는 근본이 되는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업무관련성은 원고인 근로자에게 증명책임이 있지만, 업무와 재해 발생 사이의 인과관계를 의미하는 업무기인성은 피고인 근로복지공단에게 증명책임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인과관계에 관한 부분이 제37조 제1항에서 예외규정으로 정해졌는데, 규범설에 따르면 그 예외규정에 대한 증명책임은 소송상대방인 피고에게 귀속된다는 점과 위 제37조의 입법 과정을 고려하면, 그와 같은 증명책임분배는 인정된다고 본 것이다. 본 글의 결론 부분에서는, 업무상 재해의 인과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을 근로복지공단에게 전환시키자는 논의 현황을 소개하고, 이미경 의원이 대표로 발의하여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그에 관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개정안을 소개하였다. 또한 그 개정안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업무상 재해의 인과관계에 대한 증명책임을 전환함에 있어 바람직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개정안을 모색한 후, 그 구체적 안을 제시하였다.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Edison’s DC power system and Tesla’s AC power system was debated in power market. Finally, AC system became the primary system of the power market because both step-up and step-down of voltage by using transformer and long-distance power transmission are easily possible. However, nowadays the power market takes some action for introducing DC system. Bot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re conducting the study on the DC system as well. Some researchers have conducted the studies on power quality and economic evaluation of the DC distribution system but DC distribution system is still controversial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In this paper, we calculate the reliability indices of the Low Voltage Direct Current(LVDC) distribution system considering arrangement of power electronics, layout of the distribution system, and distance between load points.
본 연구는 KTX 수송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중개입 시계열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2011년 이전의 자료로서 경부 2단계 개통 개입만 고려한 Kim과 Kim (Korean Society for Railway, 14, 470-476, 2011)의 연구를 수정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개입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2011년 이후의 시계열 자료를 효과적으로 모델링 하는 한편 KTX 수송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중개입 계절형 ARIMA 모형을 도입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KTX 수송수요에 영향을 주었던 경부 및 호남 2단계 개통, 메르스 발병과 설추석 명절 등 다양한 개입의 효과를 효과적으로 해석하는 한편, 이를 통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