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분리 회수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CCS)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현재 CCS기술 중 연소후 회수분리(post-combustion capture) 기술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현존하는 모든 연소시스템을 고려하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CCS에서 이산화탄소의 회수에너지 소모 및 분리 플랜트 비용면에서 미래잠재성이 아주 큰 막분리 기술에 관한 국내외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분리막 기술을 크게 고분자막, 무기막, 막접촉기, 혼성공정 등으로 나누고 이산화탄소/질소에 대한 선택투과의 원리를 설명하고 최근의 연구결과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의 연구된 결과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의 분리막의 미래방향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effect of opioids on nitric oxide (NO)- and peroxynitrite-induced neuronal cell death is largely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morphine on NO- and per- oxynitrite-induced cell death using a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 line, which abundantly expre- sses μ, 8, κ-opioid receptors.
Methods: The cultured cells were pretreated with morphine and exposed to 3-morpholinosydnonimine (SIN-1) that simultaneously generates NO and superoxide, thus possibly forming peroxynitrite. The cell damage was assessed by using MTT assay and crystal violet staining. Morphological nuclear changes and enzymatic evidences of apoptosis of the cells after exposure to SIN-1 for 24 hours were evaluated by using 4', 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taining and the measurement of pro-apoptotic protease (caspase-3) activity, respectively. Levels of reduced glutathion (GSH) were measured by monochlo- ronimane (MCB) assay.
Results: Pretreatrnent of SH-SY5Y with morphin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poptotic cell death. Morphine also inhibited SIN-1-induced caspase-3 (pro-apoptotic prote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1nner. However, naloxone (20 μM) could not antagonize completely the effect of morphine in SIN- 1-induced cell death. Pre-administered GSH and N-acetylcysteine (NAC) have been found to protect SIN-induced apoptosis, and the neuroblastoma cells treated with morphine had significantly elevated the levels of GSH.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morphine protects the human neuroblastoma cell line SH- SY5Y frorn peroxynitrite-induced apoptotic cell death through elevated GSH levels.The protective action of morphine seems to be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the apoptotic pathway.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morphine protects the cells possibly via other unknown mechanisms in addition to the activation of opioid receptors. ( Korean J Anesthesion 2000; 38: 356~364 )
According as interests about environmental problem are being increased nowadays, social requirements about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the railway are also being increased gradually and rapidly. In result, it was shown to increasement of a civil appeal & conflict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standard. In the case of Korea, analysis technology for railway noise and vibration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high frequency vibration analysis algorithm for track considering non-linearity of contact spring in order to develop core techniques.
목적 : 복와위 경추수술 후 일시적으로 발생한 경도의 외안근마비와 안동맥 폐쇄에 의한 시력저하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32세 여자환자가 복와위 경추수술 후 발생한 단안 시력저하 및 외안근마비를 주소로 의뢰되었다. 전반적인 안검사를 시행하였고, 보조검사로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망막전위도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내원 당시 우안시력은 광각있음, 좌안시력은 1.0이었다. 우안의 구심성동공운동장애와 경도의 외안근마비가 있었으며, 안저검사에서 망막과 시신경의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내원 4일째 우안 망막 후극부의 혼탁이 있었으며, 형광안저혈관조영술에서 우안 망막 및 맥락막의 전반적인 후기형광누출이 있었다. 내원 8일째 우안의 교정시력이 0.7로 호전되었다. 망막전위도검사에서 우안의 a파 및 b파 모두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내원 12일째 외안근마비는 소실되었다. 내원 61일째 우안 시력은 0.7이었고, 망막전위도검사에서 처음보다 호전된 결과를 보였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 new U-CRM by analyzing and compensating the existing CRM with the process modeling for efficient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The data used in the existing barcode-based CRM system is saved in the database and used for simple statistical data, but data in the RFID-based U-CRM system is not simple statistical data but customer’s inclination is analyzed in it, so that it can provide the best customer service.
본 논문에서는 변형 가능한 곡면에 가상의 텍스쳐를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 기반의 실시간 기하 보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수의 대응점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커들은 프로젝터의 영상이 투영되더라도 그 흔적이 남아있어서 투영 영상을 훼손한다. 또한 출력 영상의 사전 기하 보정 과정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시간 기하 보정 시스템의 구현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마커 인식 과정에서 마커에 의해 투영 영상이 훼손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마커를 사용하며, NVIDIA의 Cg Toolkit을 이용하여 고속의 GPU 연산을 수행함으로서 자연스러운 실시간 보정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마커가 그려진 종이 위에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을 투영한다. 이를 통해 증강 현실 기반의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