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켑스트럼 분석을 위해 제공된 세 가지 소프트웨어, ADSV, SpeechTool, Praat을 이용하여 획득된 CPP 측정값을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성문암 환자 65명이 모음 연장발성, 문단 읽기 과업을 수행한 음성샘플에 대하여 켑스트럼 분석,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배경 및 목적: 말수행력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비교는 정상수준보다 저하된 구강운동기능을 평가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현재 객관적인 말수행력 분석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KayPENTAX의 CSL 하위 프로그램인 Motor Speech Profile이다. 프로그램 내에서 제시된 역치값과 기준값은 외국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기 때문에...
Power를 40 W로 고정하고 시간을 5~120초간 변화시켜 아르콘 플라즈마로 처리시킨 n-GaAs(100)의 특성을 photoreflectance(PR)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E。 피크의 세기는 처리시간이 5초일 때 최소로 관측되었으며, 이때 표면전기장(E_S), 순수 캐리어농도(N_D-N_A) 및 표면상태 밀도 (Q_(SS))는 각각 1.05×10^5 V/㎝, 1.31×10^(17) ㎝-³ 및 1.64×10^(-7) C/㎡로 이 값들은 bulk 시료에 비해 약 57.1, 81.4 및 56.9% 감소하였다. 반면에 5초일 때 compensation center 농도(N_A)는 5.57×10^(17) ㎝-³로 최대였다. 그리고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시 유발된 결함들의 침투깊이는 표면에서 약 450 Å 정도였다.
Fe가 첨가된 반절연성 InP(100)의 특성을 photoreflectance(PR)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관측한 PR 신호로부터 300 K에서 띠간격 에너지(E。)와 넓어지기 변수(broadening parameter: Γ)는 각각 1.336 eV 및 11.2 meV의 값을 얻었다. 측정온도를 300~80 K로 낮춤에 따라 PR 신호는 엑시톤과 2차원의 띠사이 전이가 중첩된 형태(300 K)에서 전형적인 엑시톤에 의한 전이형태(80 K)로 변함을 알았다. 또한 Varshni 계수 α=-0.94±0.07 meV/K, β=587±35.2K와 Bose-Einstein 계수 α_B-33.6±2.02 meV, θ=165±33 K의 값을 얻었다. 그리고 등온 및 등시 열처리를 수행한 후 측정 결과, 온도 300℃에서 10~20분 정도 열처리시켰을 대 InP 시료의 결정성이 가장 좋아짐을 정성적으로 알 수 있었다.
외부 공진기형 반도체 레이저를 주레이저로 하여 종레이저로 사용한 상용 반도체 레이저에 광 주입-잠금을 수행하고, 주입-잠금된 종레이저의 모드 특성을 조사하였다. 루비듐 원자의 D1 전이선에서 포화흡수분광 스펙트럼과 주입-잠금된 종레이저의 모드를 측정하였다. 주입-잠금 대역폭 내에 있는 종레이저가 주레이저의 주파수와 선폭이 동기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주입되는 광의 세기에 따른 주입-잠금 대역폭을 측정하였다. 특히 주입되는 광의 세기, 그리고 주레이저와 종레이저의 주파수 차이에 따른 주입-잠금 과정에 종레이저의 모드 변화를 공초점 패브리-페로 간섭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불완전 주입-잠금 상태에서는 종레이저의 모드가 두 개 이상의 다중 모드로 발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all 효과 측정을 이용하여 As^+이 주입된 단결정 실리콘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활성화 과정을 연구하였다. 주입된 이온의 농도 분포는 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와 SUPREM Ⅳ 모의 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층의 전자 면 농도 증가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Hall 이동도의 온도 의존성 측정으로 주입된 도우즈에 따라 이온 주입층의 활성화에 필요한 열처리 온도가 달라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접합 손실전류의 감소는 800℃ (30분)의 열처리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호텔조리사가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업무외적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는 직무착근도와 자기효능감이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근무태도를 통해서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호텔기업의 조리사가 직무에 대한 관심과 애착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직장상사와의 유대관계뿐만이 아니라 주변의 동료들과의 관계형성에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이와 관련된 사내 문화를 형성해주어야 할 것이다. 즉, 호텔 내에 다양한 친목단체를 활성화시키고 직장동료들의 팀워크와 커뮤니케이션제도를 만들어 인간적인 유대관계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호텔조리사로서 업무와 관련된 성취욕구를 높여 주며 어떠한 일을 부딪쳤을 때 그것을 극복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해 준다면 조리사의 직무태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호텔 인사관리 담당부서에서는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직에 관련된 관리를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 호텔의 직원의 채용과 관리도 중요하지만 이직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호텔조직과 종사원간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수집의 원천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하여 호텔 내 종사원들의 문제점을 파악되고 이직을 하고자하는 원인을 분석해서 이와 관련된 인적자원관리의 운영 방안에 대한 개선방향을 정하고 이직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사운영관리시스템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기계가공으로 제작되고 알칼리 화학세정을 거친 알루미늄합금(A5083) 진공용기에 대한 기체방출 특성을 조사 하였다. 상온배기를 시작한 후 가열탈기체 처리를 하기 전 까지 배기곡선은 ~t^(-1.15) 모양을 따랐다. 이 알루미늄 진공용기에 대한 배기곡선을 비교적 간단한 모델들을 사용하여 용기의 내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물의 1차 방출로 분석하였다. ~10^(-5) - 10^(-8) Torr 압력구간에서 물분자는 ~17 - 22 kcal/mol 사이의 탈리에너지 값을 가지는 몇 개의 흡착석에서 방출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100℃, 24 시간 가열 탈기체 처리후 알루미늄용기에 대한 기체방출률은 상온에서 ~1×10^(-13) Torrl/s ㎠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