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reless Sensor Network (WSN) is researched in various filed. Underwater Sensor Network (UWSN) is used various purpose such as underwater environment monitoring. But, WSN is researched in the terrestrial that uses mainly radio frequency, The existing terrestrial research is incongruent to apply to underwater. Therefore, we propose UWSN architecture that considers underwater environment. In this paper, UWSN applied cluster technique and functional node constructs. Each cluster collects and sends cluster data. Dual super cluster head receives cluster data and transmits each in the base-station. We implement UWSN routing algorithm, and construct test-bed and analyze cluster data receive rate.
IEEE 802.11b에서는 기본서비스인 DCF와 QoS를 제공하기 위한 무경쟁 서비스인 PCF가 제공된다. DCF는 CSMA/CA(충돌을 회피하는 매체 접속 기법) 접속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PCF를 수정하여 트래픽의 부하가 많아진 채널에 가충치를 두어 서비스 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스테이션 측으로부터 부분적인 큐의 정보를 받아 가중치를 계산하였으며 NS-2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PCF 기법을 수정한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학습조직에 대한 비전제시가 중소기업 구성원의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기존의 지식창출에 대한 연구가 조직의 공식적인 제도나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관점과 조직분위기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최고경영층 관점과 사회적 학습이론에 근거하여 중소기업 근로자의 지식창출 메커니즘을 보다...
목표성향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는 학습성향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학습성향과 성과성향의 상호작용 효과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학습성향과 성과성향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상호작용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조절변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목표성향은 목표의 내용을 중시하던 기존의 동기부여 이론에서 벗어나 스스로 상황을 해석하고 행동으로 옮기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자율성과 창의성이 강조되는 현대의 경영환경에서는 스스로 학습하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게 하는 원천으로서 목표성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목표성향이라는 개념을 세분화하여 각 하위요소별 독립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부각되고 있다(Button, Mathieu & Zajac, 1996; Elliot & McGregor, 2001). 이러한 하위요소의 독립성은 목표성향이 어떻게 성과로 이어지는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 는 개인의 목표성향이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각 하위요소별(학습성향, 성과증명성향)로 다르게 접근하여 각각의 과업행동을 제시하고 성과와의 관계를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9개 조직 상사-부하 총 155쌍의 자료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학습성향은 자기주도행동을 통해직무성과로 연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이미 입증된 학습성향의 자기규제기능을 실제 작업현장에서 발현되는 과업행동으로 재 증명하였다. 또한 구성원의 성과증명성향은 자기표현행동으로 발현되며 이렇게 발현된 자기표현행동은 직무성과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규제기능 하나로 목표성향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성과증명성향만의 독립적인 경로인 자기표현기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자기표현기능을 직무성과에 연계시키기 위한 정적(+) 경로를 제시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성과증명성향과 자기표현행동이 어떻게 직무성과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협대역과 낮은 전송속도의 제약을 가진 수중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적인 MAC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미 발표된 Underwater Packet Flow Control (UPFC) 기법은 전송회수와 전송시간을 이용한 세 가지 전송타입을 제안하여 일반전송, 블럭전송, 병렬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나 기존 머지전송을 보완하여 최대전송가능 페이로드를 기준으로 효율적인 큐잉방법에 대한 기법 Effective Queuing-UPFC (EQ-UPFC)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전송효율의 검증을 위해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전송회수 및 전송량 대비 효율성의 증가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