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분광영상은 다중 분광 영상보다 많은 밴드를 통하여 넓은 범위의 파장 영역에 대한 반사율을 담고 있는 고차원 데이터이다. 이러한 고차원 데이터의 색인 구축을 할 때에는 차원의 저주 때문에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또한 질의 처리 과정에서 특정 밴드의 반사율 값이 비슷한 다른 물질이 후보자로 검색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원의 저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라미드 기법을 이용한 초분광영상 색인을 구축하였다. 또한 분광 라이브러리에서 대상 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미분 분광법을 이용한 전처리와 피라미드 기법 기반의 K-최근접 질의를 제안 하였다. 이와 더불어 질의 처리 과정에서 거짓 값을 걸러내기 위하여 적분 분광 정합 필터를 추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 일 때 순차적 접근 방법에 비해 4%의 시간 밖에 걸리지 않았다. 또한 84%의 정탐지율과 16%의 오탐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타원형 핀-튜브 열교환기에 대해 AR, 피치, 와류발생기의 위치, 튜브 표면의 돌기형상에 따른 열전달계수 및 압력강하 특성을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였다. CFD해석시 경계조건으로는 튜브표면의 온도는 348 K이고, 입구공기속도는 1~5 m/s 범위로 가정하였고, 수치해석시 사용된 모델로는 민감도를 고려하여 RSM 7차 난류모델을 하였다. 해석결과로는 AR 및 세로피치가 작을수록 열전달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로피치에 대한 영향은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와류발생기의 설치는 튜브 전방에 위치할수록 열전달특성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튜브표면의 돌기형상은 톱니형보다 원형이 압력강하나 열전달특성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분광영상은 적외선 영역부터 자외선 파장 대역까지 수십에서 수백 개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고차원 데이터이다. 최근 분광데이터를 이용한 색인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분정합 필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질의 필터 과정에서 순차검색보다 느려지는 문제가 존재하고, 기존의 PCA, ICA 등의 차원축소 알고리즘을 적용했을 때 분광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광데이터 특성에 따라 차원축소를 하는 SPVD(Spectral pair vector decomposition) 차원축소 알고리즘과 SPVD 질의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차원축소 과정에서 밴드의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처리가 필요 없고, 질의 시간이 줄어든다. 물질 분류 실험 결과 8차원에서 86%의 정확도를 보였고, 표적탐지 실험에서는 k-최근접 질의의 k가 25일 때 8.25초의 검색시간과 나지토양은 77%, 아스팔트는 85.6%의 정탐지율로 기존방법 보다 좋은 성능을 보인다.
목적: 난시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차와 대비 감도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평균 나이 21.0(±1.2)세의 44명(남:29명 여:15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실험은 Wave-Front Analyzer KR-1W(TOPCON) 기기로 수차를 측정하였고 Contrast Sensitivity Chart(HDC-9000N/PF, Huvitz)로 대비 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고위 수차는 난시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시 축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비 감도의 측정에서 난시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난시 축으로 나누었을 때는 유의하지 않았다. 난시량을 등가구면 교정하였을 때와 난시교정 했을 때 대비 감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등가구면 교정과 난시교정 하였을 때는 동일한 공간 주파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비 감도는 난시량과 난시 교정방법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비 감도는 난시 축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정확한 난시 교정으로 대비 감도를 높여 시력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다중분광영상과 초분광영상은 물질탐지를 위하여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부터 볼 수 없는 파장 대역까지 수백 개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고차원 데이터이다. 두 영상을 비교했을 때 초분광영상이 다중분광보다 많은 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좋은 탐지율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두 영상에 맞는 분광 라이브러리의 색인을 구축하는 연구와 이를 이용하여 물질탐지 성능을 비교 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피라미드 기법을 이용하여 두 영상의 색인을 구축했다. 그리고 영역질의 기반의 K-최근접 질의와 적분정합필터를 이용하여 두 영상의 탐지율을 비교했다. 실험 결과 제안한 색인 방법은 두 영상 모두 차원의 저주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초분광영상이 평균 정탐지율 82%, 오탐지율 18%, 다중분광영상이 정탐지율 18%, 오탐지율 82%를 보이면서 초분광영상의 성능이 매우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lined angles of channel on thermal stabi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an inclined parallel channel with discrete protruding heat sources. The material used for the inclined parallel channel was epoxy-resin, while air as the cooling fluid. Heat transfer phenomena for inclined angles of φ=15˚, 30˚, 45˚, 60˚and for the range of 9.52 × 10^5
In this paper, we propose a EMG signal based four-step stair gait phase recognition method using feature and muscle selection. A lot of existing stair walking studies were focused on the center of gravity. AHRS sensor is used to train the LDA classifier for four-step ascent/descent gait phas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of ascent is about 64% when Vastus Medialis and Semitendinosus are selected and VAR, WAMP features are used. In case of descent, the recognition rate is lower than that ascent but it shows similar patterns according to muscle and fe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