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속히 보급된 스마트폰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발전은 가상 세계와 실세계를 보다 밀접하게 연결하여 사람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용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쉽게 구성하는 방법에 치중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과 단순한 정보 교환 기능을 지원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인 트위터는 정보 교환 기능으로 트윗이라는 단문 메시지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2억명이 넘는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SNS인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그룹 채팅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스마트폰 그룹 메시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반영하여 트위터 사용자와 그 사용자의 팔로워들이 참여하는 그룹을 자동적으로 형성하고 그룹 구성원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실시간 그룹 메시징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스마트폰 그룹 메시징 시스템은 XMPP 프로토콜 기반의 메시징 서버와 트위터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실시간 메시징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트위터 메시지를 이용하여 손쉽게 메시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XMPP 서버에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그룹을 통하여 자신의 팔로워들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다.
장애로 인한 차별은 장애인이 경험하는 인권침해의 가장 흔한 사례이다. 본 연구는 예방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을 추정하고, 추정된 차별경험궤적의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017년에서 2019년까지 수집된 데이터에 포함된 19세 이상 성인 장애인 4,438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2017년부터 3년간 조사된 일상생활 차별경험정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일상생활 차별경험 예측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성별, 학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2017년 기준의 개인체계요인(도움이 필요한 정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변수들과 사회체계요인(배우자 유무, 도움 제공자 유무, 사회활동참여정도, 기초생활수급자 여부) 변수들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평균적으로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상생활 차별경험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체계요인으로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있었고, 사회체계요인으로는 배우자 유무, 사회활동참여정도, 기초생활수급자 여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지각된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유기용제는 어떤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액체상태의 유기화학물질을 총칭한 것으로 기름 및 지방 등을 잘 녹이고 휘발성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사업장에서는 도료의 제조배합, 금속제품의 세척, 인쇄, 필요물질의 추출, 드라이 크리닝 등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목적에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서로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는 사업장에서의 사용량과 독성 등을 고려하여 54종의 물질을 제1종, 제2종, 및 제3종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유기용제의 독성, 인화성, 발화성 등으로 인하여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업장 지정폐기물로 관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각처리시 폐유기용제에 함유된 염소, 불소 성분에 기인한 다이옥신의 비의도적 발생을 줄이고자 할로겐화 유기물질 17항목을 설정하고 5 %의 함유량 기준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 밖의 폐유기용제에 대한 항목과 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고, 폐기물에 미량의 폐유기용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지정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는 등 폐유기용제의 종류와 기준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유기용제의 합리적인 관리 및 처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폐유기용제의 특성 및 관리실태 등을 파악하여 폐유기용제의 적정 분류기준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유기용제의 98.6%을 배출하고 있는 전자부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등 19개 업종, 80개 사업장에 대한 제품제조공정, 폐유기용제의 배출 및 처리방법 등을 현지에서 조사하고, 발생된 폐유기용제를 채취하여 알려진 유기용제의 함량을 분석하여 업종별 폐유기용제의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Total 11 samples of sediments from the Geum river and the Nakdong river and its estuari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BDEs and HBCD. Concentration of PBDEs in sediments ranged from 2.19~101.34 (average 30.70, median 20.91) ng/g-dw. The concentration range of PBDEs in river sediments is greater than those of estuary sediments. The HBCD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N.D.~7.85 (average 1.47, median 0.32) ng/g-dw. HBCD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PBDEs are approximately 1/20 level, which is associated with low domestic usage. Isomer patterns of PBDEs and HBCD suggested that not only the use of commercial products, bu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environmental behavior could affec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chemicals and their isom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spective increase in the amount of hazardous substances in packing containers. Thestudy's aim was to analyse phthalates, which are regulated for use in food containers in the EU, as well as four heavymetals (Pb, Cd, Hg, and Cr6+) regulated domestically and abroad. Furthermore, we endeavored to confirm the need foradditional regulations for packaging material by analysing PBDE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 brominated flameretardant that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because of its wide use in plastic packaging. The concentration of the heavymetal, namely Pb, Cd, Hg and Cr6+ in packaging material samples were in ranged from ND to 7.2mg/kg, ND to 0.47mg/kg, ND to 0.07mg/kg, and ND to 5.01mg/kg, respectively. With total concentration of the four heavy metals (ΣPb+Cd+Hg+Cr6+) ranging from ND to 9.14mg/kg, all samples were below the standard threshold (Σ 100mg/kg). Theconcentration of phthalates in packaging samples was less than the standard of all foreign nations of 0.1% (1,000mg/kg). In particular, DEHP, DEHA, and DBP were detected higher in smart phone cases than others; other materials werefound to be at similar levels. The concentration of PBDEs in packaging material samples was detected in the range ofND to 24.2mg/kg, thereby not exceeding the standard of WEEE and RoHS of 0.1% (1,000mg/kg) for electrical appliancesand electronics.
세계 최대 규모의 SNS인 페이스북은 사용자 사이의 관계를 맺어주는 서비스를 넘어 조직, 상표와 같은 현실의 객체를 온라인상으로 표현하는 페이지를 통해 사람들과 소셜 관계를 맺어주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페이지는 페이스북 사용자와 소셜 관계를 맺음으로써 펜 관리, 홍보 등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페이스북 페이지와 사용자 사이의 손쉬운 소셜 관계를 맺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마케팅을 지원하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 정보를 QR 코드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람들에 의해 배포된 QR 코드를 통해 페이지와 관계를 맺고 페이지에 관련된 글을 페이스북에 게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