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investigated about the material and sort of the floral design has studied at 50 thesis and it was assorted from 106 thesis related with a horticulture therapy to get a basic database for increasing of application and efficiency of the floral design. Firstly, 50 thesises were distingui...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화예디자인의 적용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원예치료 관련논문 106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화예 디자인이 사용된 논문 50편을 선별한 후 대상자 연령 및 유형별로 사용된 화예디자인 종류와 사용된 소재의 내역을 조사하였다. 논문 중 주 대상자가 아동인 것은 12편, 청소년은 5편, 성인은 7편, 노인은 13편, 기타가 13편이었다. 연령별로 많이 사용된 화예디자인 프로그램은 아동과 성인의 경우 압화와 꽃꽂이였고 청소년과 노인은 식물심기와 꽃꽂이였다. 대상자별로 많이 가장 많이 사용된 화예디자인 프로그램은 정상인의 경우 식물심기였으며, 신체장애인, 정신장애인, 치매환자는 각각 압화였다. 프로그램에 많이 사용된 소재는 장미(37), 국화(21), 미니장미(16), 카네이션(15), 백합(12), 편백(10), 아이비(9)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