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유전자(ancient DNA)에 대해 분자생물학적 기법들이 이용되면서 과거에는 얻지 못했을 정보들을 옛사람 등의 DNA로부터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형질인류학에 있어서 옛사람 성별연구는 결혼, 매장형태, 성별간 사망률, 질병에 대한 성별간의 차이, 키, 식습관, 부장품들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몽골 옛사람 DNA를 대상으로...
체질인류학, 고고학, 법의학 등의 분야에서 사람의 뼈에서 남성과 여성을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인골 머리뼈에서 계측하는 방법에 근거를 둔 형태학적 성별의 판단법과 기존의 amelogenin PCR 증폭방법을 더욱 개량한 유전학적 성별 결정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부터 20세기 이전에 이르는 고인골 중 머리뼈가 보존된 6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형태학적 성별구분은 우즈베키스탄 학자의 결정을 따랐고, 유전학적 성별결정은 본 연구에서 개선한 amelogenin PCR 증폭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형태학적 남자에서 유전학적으로 남자로 판명된 경우는 20예 중 13예였다. 형태학적 여자에서 유전학적으로 여자로 판명된 경우는 40예 중 20예였다. 결론적으로 개선된 아밀로제닌 PCR 증폭방법을 이용한 고인골 남녀 성별 판별법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