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매매특별법 발효 이후 탈 성매매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매매를 지속하려는 성매매 종사 여성들 9명을 대상으로 탈성매매를 저해하는 개인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의 탈성매매와 사회복귀를 지원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문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코딩, 개념도출, 유사양상짝짓기(mathching), 현상에 대한 설명구축 순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면접자료는 대화분석 방법으로, 문서자료는 텍스트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총 46개의 개념과 10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이 범주들을 개인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해석한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탈성매매 저해원인은 첫째,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 둘째, 반동형성에 의해 만들어진 인생각본, 셋째, 불안에 기인한 숙명론적 체념, 넷째, 자본재로서의 몸, 다섯째, 포주와의 공생모델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매매 종사 여성들의 탈성매매를 도울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인간대상연구현황 조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과제 관리 기준의 필요성과 생명에 관한 연구윤리를 말하고자 한다.
엘리오 스그레챠는 “인간은 인간만이 가진 유일무이한 존엄성 때문에, 인격의 존엄성에 대한 존경에 바탕을 둔 윤리 규범은 각각의 연구단계와 그것에서 얻어지는 결과들의 적용 모두를 조명하고 규제해야...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expressivity required for virtual clothing to replace actual clothing. For the experiment, 6 materials were selected and 12(2 kinds of length) actual flared skirts were made. At the same tim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on OptiTex Runway 12.0 for 36(12 kinds of skirts × KES, FTU, KES weight/10) kinds of virtual flared skirts, which were applied with the measured property values (thickness, weight, bending, shear, friction, and stretch). Also,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earing images, silhouette overlapping images, and skirt length measurements of the actual and virtual skirts put on a dummy. As a result, the actual skirts showed clear distinction for each material. In contrast, virtual 1 and 2 expressed fabric 3 in the most similar way, but could not recreate the uniform, soft, and natural flare shape of the actual skirts in general. Virtual 3 formed natural flares as those of the actual skirts, and expressed fabric 1, 5, and 6 in a similar way. However, virtual 3 had too much volume and barely showed any distinction for each material. All of virtual 1, 2, and 3 expressed different flare shape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kirt similarly to the actual skirts, and had a good visual expression for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materials.
However, they could not effectively express the elasticity and fabric sagging in the bias direc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영항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B시 소재 K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320 명을 대상으로 배부하여 295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충분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한 29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공만족도는 학업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사회적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요인별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에서 정보적지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plans of WORK-TOGETHER CENTER, which support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moothly move from school to work. It consists of preparation service for jobs, job placement service, and public relations. Preparation services for jobs are composed of vocational assessment, skills training, promotion of job-seeking skill, and work experience. Job placement services are composed of information on job vacancies and on job-seekers, job and work analysis, supported employment service, and providing follow-up services. It is important task to establishing stable and successful development plans of WORK-TOGETHER CENTER because this project is in its early stages. The suggestions of analysis are follows: strengthening preparation service, providing differentiated on-the job training and sharing information among inter-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