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grammar unit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has been revised 9 times since the first curriculum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been compiled at that tim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one type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te textbook development system and has been used until now. Therefore, grammar textbooks were not developed and used separately. In this discussio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grammar unit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aspects that grammar has been reflected in the unit structure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To this end, first, the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changes of the system and unit composition. Within this framework,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aspect of grammar unit execution.
1894년 동학농민혁명은 강원도지역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강원도지역에서는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과정에서는 특별한 활동을 보이지 않다가 2차 봉기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강원도지역은 최제우가 1864년 처형된 후 조직을 이어받은 최시형이 근거지로 삼고 동학교단 조직을 재정비한 지역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지금까지 강원도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에 대해 정리된 연구 성과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또한 강원도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동학농민군들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강원도 지역에서 총 13곳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유적지가 상당수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인식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다.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안내판설치가 필요하다. 여기에 체계적인 보존 관리를 위해서는 문화재로 지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학술연구도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을 중심으로 답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강원도 동학농민혁명의 메카로서 강원지역의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의 설립도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까지 파악된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군은 총 76명이다. 지역별로 거의 강원도 전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지역별로 보면 강릉 8명, 봉평 12명, 원주 6명, 인제 2명, 양구 1명, 정선 4명, 평창 6명, 홍천 36명, 횡성 1명으로 홍천에서 가장 많은 동학농민군이 확인된다. 이는 홍천을 근거로 차기석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이 홍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큰 전투를 벌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동학농민혁명 연구는 지역적 관점을 견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농민군 개개인의 활동 양상을 복원해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 글은 2015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논의 대상은 크게 국어 교과의 목표에 드러나 문법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의 특징과 문제점, 문법 영역의 성취 기준과 문제점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제시된 문법 교육 관련 사항은 그 표현이 명료하지 않아 소통성이 떨어지고 다른 영역의 목표와 달리 문법 영역은 기능 범주와 관련된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불균형을 보임을 논의했다. 다음으로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를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수행’ 범주의 하위 범주로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 ‘국어 규범과 국어생활 범주’는 그 도출 원리가 다른 영역의 ‘수행’ 범주와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끝으로 문법 영역의 성취 기준의 변화 양상을 살폈다. 문법 영역의 성취 기준 개수 상으로 3개가 줄어들고 초등의 경우 1개가 줄어들었지만 내용상으로는 큰 변화가 있었음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논의했다.
In this the Seoul Metropolitan City was divided into 3 zones as the central zone, the sub-central zone and the outskirt zone and, the civil service claims on construction of 892 cases which have been filed and disposed by the competent administrative authorities concerned during the year of 1988 were divided into patterns in which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more and with the nature is diffetent and further have classified into the disposing actions thereof and made rese arch on times and patters of happening, acts of disposition, problem areas subjects to the disposition and for estabishment of arbitration agency for the civil service claims on construction by 125 persons in total including 35 public service offcials on the architectural afairs, 38 architiects and 52 site consultant engineers who have engaged in these districts under this study, and the data out of were analyzed by statisical meth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