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model for measuring the efficiency of R&D organization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In existing research about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types of R&D organizations have not been clarifi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analysis time from measurement time is usually 4~5 years. This research divides R&D organizations into three types and provides proper methods for measuring the efficiency of each R&D organizations.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ccomplish the investment and analysis, to make the construction manuals, to draw the standards, and to build quality and standards informat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materials. The application plan and the anticipation effect of this results include as follows. (1) The investment and analysi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materials are able to suggest the technology trends and the trends analysis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2) The quality and standards information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materials are possible to be the construction faculty and the cost/energy reduct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3) The standards method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materials are useful for the reliability guarantee and quality escalat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4) The standard manuals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materials are applied to the specifications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ntration reduction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s (e.g., PM10 and PM2.5) and indoor air pollutants (e.g., CO2, TVOC, Rad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s of an air-cleaner and natural ventilation through windows in a small office. As results,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decreased into 0.2 μg/m3 from 1.6 μg/㎥ when the air-cleaner was in operation along with all windows closed during holidays. Under the conditions of natural ventilation with the windows opened during weekdays, the concentrations of Radon significantly decreased up to 0.2 pCi/lfrom 3.7 pCi/l. However,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s of PM10 increased almost double up to 74.7 μg/㎥ from 30.5 μg/㎥ and PM2.5 increased up to 40.9 μg/㎥ from 21.5 μg/㎥ as well even though the air-cleaner was in operation. Consequently, when it comes to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t is important to timely operate ventilation (natural or mechanical) systems as well as air-cleaner(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measured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ants.
본 연구는 영화 소비자들이 영화 선택 과정에서 이용하는 다양한 영화 정보채널에 대한 인식 및 그 이용 행태에 대해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영화 소비자들은 영화 선택을 위해 친구, 지인, 가족 등 주변 사람인 대인 매체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매체를 살펴보면, 포털 사이트, 극장 사이트, 영화 예매 사이트, 영화 홈페이지와 같은 ‘온라인 사이트’와 ‘주변 지인이나 개인의 SNS’를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채널에 대한 관객의 접촉 빈도 및 채널의 유용성과 신뢰성 인식을 조사한 결과, 극장사이트 접촉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포털 사이트 영화섹션을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극장사이트와 영화 관련 커뮤니티를 가장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채널의 경우 영화사가 운영하는 채널보다 개인이 운영하는 채널에 대한 신뢰도와 유용성 인식이 높았다. 커뮤니케이션 행동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정보전달 행동 특성이 높은 집단은 개인의 SNS와 영화사 운영 SNS 사용 정도가 높았으나, 영화사 SNS보다 개인의 SNS를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영화 마케팅 및 홍보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양식과 특성을 고려한 매체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방문판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접점 가운데 정보성, 매력성, 구매 영향력 효과가 높은 접점을 선정하고, 각 접점의 유형 별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수용자 성향인 방문판매 이용 정도 및 방문판매에 대한 지식 수준이라는 변인을 활용해 방문판매 소비자의 특성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소비자와 방문판매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방문판매를 통한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일곱 가지 접점의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는 정보성, 매력성, 구매 영향력 영역 별로 소폭 차이가 있었으며,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소비자의 방문판매에 대한 지식 수준에 따라서도 접점 유형별 커뮤니케이션 효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소비자 집단과 방문판매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실행을 위해서는 방문판매 유통 현장에서 판매원 개인의 경험과 판단에 의한 접점 선택보다 소비자의 특성에 근거한 보다 전략적이고 과학적인 접점 활용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