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paper, a 2-degree-of-freedom (D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scanning micromirror array is fabricated, which has a large area mirror, a large actuation displacement and high fill factor. Each mirror is designed for independent actuation to two axis. The mirrror is designed as leverage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large actuation angle with electrostatic actuator. To achieve this, a vertical combdrive actuator is fabricated with leverage structure. The tilting angles are 9.87 ° and 9.76 ° for each axis at the voltage of 150 V. The high fill factor is accomplished by fabricating actuator under the mirror plate. The array is composed of 9 single mirrors with 3 by 3 matrices, of which the size is 1 ㎜ by 1 ㎜. The fill factor of mirror array is 84 %.
헬무트 락헨만(1935-)의 ``한 명의 클라리넷주자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 《아칸토》에서는 서양의 중세 이후 발전해온 작곡기법중 하나인 ``음악적 인용``기법을 새로운 차원에서 제시한다. 인용한 음악(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K. 622)이 변형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채 원형 그대로 테이프 재생을 통해 들려지는데, 다만 락헨만의 실험적 현대음악이 연주되는 동안 매우 일시적이고 간헐적으로 들리게 된다. 이처럼 공존하되 (거의 내내) 들리지 않는 역설적 인용은 락헨만이 말하는 ``미적 장치``에 대한 그의 반응이라 할 수 있겠는데, 필자는 이를 통해 락헨만의 음악세계와 모차르트의 음악세계가 다음과 같은 독특한 방식으로 병존하면서 둘 사이의 대위적 관계가 발생한다고 본다: 물신화된 마취적 세계와 각성된 세계, 그리고 메타음악과 대상음악의 병존 및 대위.
As the road sink phenomenon occurred at the center of Seoul area in 2014, the road sink phenomenon was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Korea. Even so far, governments, municipalities and related experts have been making a lot of efforts to prevent road sink, but it is still happening all over the country.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road sink phenomenon is judged as a policy alternativ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presentative policy cases in the government for providing the behavioral procedures and checklists to be use person in charge.
최근 공공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른 사회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설물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도 증가 하고 있다. 향후 10년 내에 급증하게 되는 시설물 노후화 문제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현재의 사후적인 유지관리에서 예측을 통한 선제적 유지관리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시범분석을 통해서 교량, 터널, 공공건축물 일부에 대해 FMS 축적된 유지관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별·환경별·공용년수별 취약요소를 도출하였고, Social Media의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불안/불편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교량 취약요소의 손상발생패턴 분석을 통해 향후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유지관리 항목 및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디지털 정보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