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아동 부모의 건강정보지향에 건강정보원 신뢰도와 전자 건강문해력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에 위치한 아동전문병원에 입원한 아동의 부모로서, 자가보고형 설문지에 응답한 총 10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건강정보지향에 대하여 일반적 특성 및 아동의 질병관련 특성, 건강정보원 신뢰도 및 전자 건강문해력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본 모형은 건강정보지향에 대하여 약 40%의 설명력을 보였다(F=8.22, p<.001). 또한 건강정보지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전자 건강문해력(${\beta}$=.54, p<.001), 건강정보원의 신뢰도(${\beta}$=.21, p=.008), 주관적 건강상태(${\beta}$=.19, p=.016), 연령(${\beta}$=-.15, p=.048)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아동 부모의 건강정보지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자 건강문해력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아동의 치료 및 건강관리에 대한 신뢰도 높은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에는 입원아동과 같은 특정 건강문제에 대한 전자 건강문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CHI) source and e health literacy (eHL) on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HIO) of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109 parent whose children were admitted in a children's hospital in D city was used. The hierarchial regression model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or step 1 and eHL and CHI for step 2 against HI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8.22, p<.001). And this model could explain 40% of HIO ($R^2$=.40). Especially, eHL (${\beta}$=.54, p<.001) and CHI (${\beta}$=.21, p=.008),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beta}$=.19, p=.016), and age (${\beta}$=-0.15, p=.048) were ident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HIO. Based on these findings, to foster the HIO of parents of inpatient children, credible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given to these population and a approach with eHL enhance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further research that is to explore the way to enhance the eHL should be carried out to suggest the practical application
시드로포어인 2, 3-dihydroxybenzoic acid (DHB)를 생산하는 Acinetobacter sp. B-W의 플라스미드를 분석한 결과, 20 kb 크기의 플라스미드를 함유하였다. 배양 온도 $43^{\circ}C$ 가 플라스미드가 제거된 돌연변이체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이 돌연변이체는 2,3-DHB 생산 능력을 소실하였으며, chrome azurol S (CAS) 아가 배지에서 시드로포어 생산이 검출되지 않았다. 포도당과 황산 망간을 함유한 배지에서 $28^{\circ}C$로 3일간 배양한 B-W 원 균주와 돌연변이체의 배양 상등액의 pH는 각각 4.5와 8.5로 나타났다. 돌연변이체에서는 ampicillin, actinomycin D, bacitracin, lincomycin과 vancomycin 같은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사라졌으며, 이러한 항생제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C)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B-W 균주에서 분리한 플라스미드로 대장균을 형질전환시킨 결과, 원 균주와 같은 크기의 플라스미드가 이 형질전환 대장균에서 발견되었다. 플라스미드가 제거된 돌연변이체에서는 플라스미드가 발견되지 않았다. 20 kb 크기의 플라스미드에 2,3-DHB 생산 유전자와 여러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Acinetobacter sp. B-W producing siderophore, 2, 3-dihydroxybenzoic acid (DHB) was analyzed for plasmid content. Strain B-W harbored plasmid of 20 kb in size. Growth at $43^{\circ}C$ was effective in producing mutant cured of plasmid of strain B-W. This mutant lost the ability to produce 2, 3-DHB. Formation of siderophore halos on the chrome azurol S (CAS) agar medium was not detected by cured strain B-W. pHs of supernatants of wild type strain B-W and cured mutant grown in glucose and $MnSO_4$ containing medium at $28^{\circ}C$ for 3 days were 4.5 and 8.5, respectively. Antibiotic resistance against ampicillin, actinomycin D, bacitracin, lincomycin, and vancomycin was lost in cured mutant. Plasmid curing of strain B-W resulted in drastic reduction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everal antibiotics. E. coli $DH5{\alpha}$ was transformed with plasmid isolated from strain B-W. The transformant E. coli $DH5{\alpha}$ harbored a plasmid of the same molecular size as that of the donor plasmid. Transformant E. coli $DH5{\alpha}$ produced 2, 3-DHB and contained antibiotic resistant ability. Thus a single plasmid of 20 kb seemed to be involved in 2, 3-DHB production. Genes encoding resistance to antibiotics were also supposed to be located on this plasm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