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염증성 근병증의 임상적 특징, 검사실 소견 및 자가항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및 국외의 다른 보고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4년 8월까지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다발성근염-피부근염으로 진단된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에 의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는 Bohan파 Peter에 의해 제안된 5가지 아형으로 구분하였는데, I군은 원발성 다발성근염, II군 원발성 피부근염, III군 악성종양과 동반된 경우, IV군 연소형 다발성근염-피부근염, V군 교원성 질환 중복군으로 하였다. 결과: 1)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온 34.4세(6-67)이었고,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남녀비=9:43). 2) 52명의 환자중 2군이 36.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I군 28.8%, V군 25%, IV군 5.7%, III군 3.8%의 순이었다. V군의 경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가 가장 혼히 통반되어 나타났고, 악성종양은 유방암, 폐소세포암 1예 이었다. 3) 내원 당시 근위부 근약화가 86.5%로 가장 많은 증상이었고, 관절증세는 61.5%, 레이노 현상 44.2%의 순으로 나타났다. 4) 혈청 LDH, aldolase, CPK의 상승은 각각 84.6%, 84.1%, 71.2%에서 나타났고, 근전도 및 근생검은 각각 91.4%, 88.8%에서 염증성 근병중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5) 항핵항체, 류마티스 인자, 항Ro항체, 항nRNP항체는 각각 59.6% 17.3%, 16.7%, 8.3%에서 나타났고, 주로 V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항Jo-1항체는 25.8%(31명중 8명)에서 양성을 보였다. 6) 항Jo-1항체가 양성인 8명환자 모두에서 간질성 폐질환 및 레이노드 현상이 관찰되어 항Jo-1항체 음성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도 보였다(P<0.01). 7)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43명의 환자중 10명에서 사망하여 23.2%의 사망율을 보였고, 주된 사인은 감염이 4예로 가장 많았고, 호흡근마비, 간질성 폐질환에 의한 호흡부전, 악성종양의 전이가 각각 2예이었다. 결론: 본 조사의 결과로 대부분의 임상적 소견은 외국 및 국내보고와 유사하였으나 외국보고와는 달리 피부근염이 다발성근염에 비해 더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차이에 대해서는 향후 계속적인 임상적 조사를 통해 차이점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고, 항Jo-1항체는 간질성 폐질환, 레이노 현상같은 근육의 증상과 밀접한 연관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은 빠른 전염성과 치명적인 증상으로 사회의 많은 기능을 마비시켰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태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 접촉이 중요한 개인 방역이 되었다. 코로나 위기로 교회의 현장예배와 식사 교제가 금지되면서 주일예배와 성도의 교제가 어려워져 한인교회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교회의 지속 가능성은 역발상적인 사역에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 비접촉 상태에서 현장예배 대신에 온라인 라이브 예배를 드리며, 영상통화로 성도의 교제를 나누면서 그리스도의 한 몸 되는 공동체성을 지키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공간에서의 온라인 예배 확대와 비대면 성도의 교제로 이루어지는 교회의 본질 회복과 공동체성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 지속 가능성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목회자와 평신도로 구성된 거버넌스는 교회 성장이나 종교성에 얽매이지 말고, 교회가 생명 공동체 임을 자각하고 현장과 가상공간에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며 높은 도덕성을 가지고 교회 밖 사회와 새로운 관계성을 맺을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직면하는 교회의 지속 가능성은 유기적 예배와 교제를 통한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사회와 협력하는 관계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osage of bovine type II collagen (BnCII) for the induction of oral tolerance in CIA animals, and to verify the changes of immune response and TGF-β production of mesenteric lymph node cells in tolerized CIA animals. Methods: Oral tolerance was induced by feeding of variable doses (5㎍, 10㎍, 20㎍ and 40㎍) of BnCII to DBA/1 mice 4 times per week during 2 weeks, and control mice were given ovalbumin (1000㎍), before immunization. We examed clinical assessment; incidence of arthritis, severity of arthritis, arthritic limb by visual analysis. IgG antibodies to BnCII were measured by ELISA, T cell responses to BnCII and PHA were quantified by antigen (CII)-induced 3H-thymidine incorporation into lymphocytes of mesenteric lymph node, draining lymph node, and spleen. TGF-β in supernatants obtained from lymph node culture medium was measured by ELISA. Results: Arthritis limbs were observed in 100% of control at 5 weeks after subcutaneous BnCII injection. The incidences of CIA in all toleriz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5 weeks after immunization (control 100% vs. 5㎍ feeding group: 50%, 10㎍ feeding group: 50%, 20㎍ feeding group: 50%, 40㎍ feeding group: 55.5%, P<0.01). In comparison to control, mean articular indices were lower in all tolerized groups (control 5.13: 5㎍ feeding group 3.50, 10㎍ feeding group 2.75, 20㎍ feeding group 2.87, 40㎍ feeding group 2.63, P<0.05). Arthritic limb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olerized groups (control 58.3: 5㎍ feeding group 20.8, 10㎍ feeding group 16.7, 20㎍ feeding group 20.8, 40㎍ feeding group 20.8, P<0.05). The titers of IgG antibody to CII were lower in tolerized group than that in control [tolerized group; median 10 (min. 0, max. 48), control; median 33 (min. 8.6, max. 101), P<0.05]. The proliferative responses to BnCII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in tolerized (control 8010±2319cpm, tolerized group 4500±2060cpm, P<0.01). High TGF-β production was noted in tolerized group (control; 28pg/ml, BnCII feeding group; 73pg/ml). Conclusion: Oral tolerance in DBA/1 mice was successfully induced from low doses of BnCII (5㎍) and suppressed T and B cell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increased TGF-β produc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nduction of CII induced oral tolerance in DBA/1 mice.
목적: 부신피질 호르몬 및 면역억제제에 반응이 없거나 사용이 제한되는 난치성 다발성근염/피부근염에서 정맥내 면역글로불린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부터 1995년 현재까지가 톨력의대 부속 강남성모병원 내과에서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치료를 시행하였던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글로불린을 정맥내로 매달 2g/kg의 용량을 6개 월간 투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British Medical Research Council (BRC) muscle power score, timed stand test, functional grading scale, 생화학 검사로 혈청 CPK, aldolase를 조사하였다. 치료 효과의 판정은 입상적 개선이 치료전에 비해 20%이상 나타난 경우와 근효소치의 감소가 30% 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결과: BRC muscle power score는 대상 환자 6명중 5명에서 임상적 개선이 관찰되었고, timed stand test functional grading score는 6명 모두에서 유의한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치료전 CPK가 정상범위이었던 2예를 제외한 4예 모두에서 근효소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는데 이중 3예에서는 50% 이상의 현저 한 감소를 보였다. aldolase를 측정하였던 5명 모두에서 치료전에 비해 50% 이상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다. 치료전 prednisolone 평균 1일 투여 량은 39.2±9.2mg에서 치료 6개월 후 7.03±2mg으로 뚜렷한 스테로이드 감량(81.3%) 효과를 보였다. 부작용은 1예에서 경미한 호흡곤란 및 발한이 일시적으로 나타났으나 분할 투여하면서 사라졌다. 결론: 정맥내 면역글로불린 주사요법을 기존 약제에 반응이 없거나 사용이 제한될 경우, 유용하고 안전한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목적: 염증성 근병증의 임상적 특징, 검사실 소견 및 자가항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및 국외의 다른 보고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9년 1월부터 1994년 8월까지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다발성근염-피부근염으로 진단된 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에 의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는 Bohan파 Peter에 의해 제안된 5가지 아형으로 구분하였는데, I군은 원발성 다발성근염, II군 원발성 피부근염, III군 악성종양과 동반된 경우, IV군 연소형 다발성근염-피부근염, V군 교원성 질환 중복군으로 하였다. 결과: 1)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온 34.4세(6-67)이었고,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남녀비=9:43). 2) 52명의 환자중 2군이 36.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I군 28.8%, V군 25%, IV군 5.7%, III군 3.8%의 순이었다. V군의 경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가 가장 혼히 통반되어 나타났고, 악성종양은 유방암, 폐소세포암 1예 이었다. 3) 내원 당시 근위부 근약화가 86.5%로 가장 많은 증상이었고, 관절증세는 61.5%, 레이노 현상 44.2%의 순으로 나타났다. 4) 혈청 LDH, aldolase, CPK의 상승은 각각 84.6%, 84.1%, 71.2%에서 나타났고, 근전도 및 근생검은 각각 91.4%, 88.8%에서 염증성 근병중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5) 항핵항체, 류마티스 인자, 항Ro항체, 항nRNP항체는 각각 59.6% 17.3%, 16.7%, 8.3%에서 나타났고, 주로 V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항Jo-1항체는 25.8%(31명중 8명)에서 양성을 보였다. 6) 항Jo-1항체가 양성인 8명환자 모두에서 간질성 폐질환 및 레이노드 현상이 관찰되어 항Jo-1항체 음성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도 보였다(P<0.01). 7)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43명의 환자중 10명에서 사망하여 23.2%의 사망율을 보였고, 주된 사인은 감염이 4예로 가장 많았고, 호흡근마비, 간질성 폐질환에 의한 호흡부전, 악성종양의 전이가 각각 2예이었다. 결론: 본 조사의 결과로 대부분의 임상적 소견은 외국 및 국내보고와 유사하였으나 외국보고와는 달리 피부근염이 다발성근염에 비해 더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차이에 대해서는 향후 계속적인 임상적 조사를 통해 차이점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고, 항Jo-1항체는 간질성 폐질환, 레이노 현상같은 근육의 증상과 밀접한 연관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plexin A1, a transmembrane protein involving cell survival and cell-to cell interaction, in the rheumatoid synoviocytes.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nti-plexin A1 antibody was performed in the synovium of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s. The plexin A1 expression in cultured fibroblast-like synovioytes (FLS) was also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cytochemistry.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CCK-8 assay. Deficiency of plexin A1 was established by the method of short interfering RNA (siRNA). The productions of interleukin-6 (IL-6) and monocytes chemotactic protein-1 (MCP-1) were measured in culture supernatants by ELISA. Results: Plexin A1 was highly expressed in the lining layer of synovium and cultured FLS of RA patients. In RA FLS, basal expression of plexin A1 was higher than osteoarthritis FLS. On immunocytochemical staining, plexin A1 was co-expressed with neuropilin-1 in RA FLS. Semaphorin 3A (10 to 200 ng/mL), a specific ligand for neuropilin-1/plexin A1 complex, did not affect viability of RA FLS. The down regulation of plexin A1 mRNA by siRNA did not cause cell death, either. Co-culture of FLS with RA T cells,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or synovial fluid, caused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s of IL-6 and MCP-1 from FLS, but which were blocked by down-regulating plexin A1 transcripts using siRNA method.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enhanced expression of plexin A1 in RA FLS may elicit over-production of IL-6 and MCP-1, and thereby contribute to perpetuation of chronic inflammation in RA.
IPTV, 인터넷 전화 등 인터넷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 종류의 증가와 동시에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속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사용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불만의 원인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모든 서비스가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특정 서비스의 품질을 확보하지 못하는 현상의 발생에 기인한다. 따라서 인터넷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이루어지지만, 해당 서비스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IPTV 서비스 환경과 유사한 실험망 환경을 구축하고, HD급 영상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상에서 트래픽 부하에 따른 IPTV 수신영상품질의 변화를 살펴보고, 영상품질에 따른 네트워크 측정요소의 임계치를 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