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암소의 수태율와 관련된 수많은 생리활성물질들에 대한 연구결과이 보고되 어지고 있다. 이들 중 저농도의 resveratrol 처리에 따른 효과 관련 연구결과들에서 임신 호르몬인 progesterone (P4), estradiol-17β (E2) 등의 생리적인 변화에 따라 sirtuin (SIRT1)의 발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한 우 암소 자궁 내 resveratrol을 주입하여 암소의 수태율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P4, E2, SIRT1의 변화양상을 조사하고자 한다. 공시축은 생후 14개월령 미경산 암소 20두를 대상으로 체중, 십자부고, 흉위, BCS 등 을 측정한 후 대조군 5두, 0.5, 1.0, 2.0 μM resveratrol 처리군 각 5두씩 설정하여 주입하 였다. Resveratrol 주입에 대한 수태율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전체 실험축군 을 배란동기화 처리하였고 10일째 일괄 인공수정 하였다. Resveratrol은 7일째 자궁 내 두당 20 mL 주입하였다. 배란동기화로 예상되는 주요 발정일은 9일째이며, 9일째 발정이 확인된 개체는 0.5 μM Resveratrol 주입군에서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40%, 1.0, 2.0 μM Resveratrol 주입군에서는 20%로 각각 확인되었다. 임신감정은 수정 후 40일 경과 후 초음파장비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발정확인률과 유사한 경향치 를 보이며 0.5 μM Resveratrol 주입군이 60%, 대조군은 40%, 1.0, 2.0 μM Resveratrol 주입군은 20%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행된 in vitro 수준의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in vivo 수준에서도 저농도의 Resveratrol이 암소 수태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추후 사전에 확보 한 혈액으로부터 serum을 추출하여 P4, E2 등의 주요 호르몬 수치변화와 SIRT1의 발현 여부를 분석하여 resveratrol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oocyte maturation과 embryonic development에 관여하는지 추가로 검증할 예정이다. 본 연구결과는 농가에서 쉽고 간편 하게 저비용으로 수태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한우 사육농가의 수익향상 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한우개량에 있어서 수정란이식 방법은 종전의 종모우의 능력치에 의존한 개량보다 선발의 강도 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현재 과배란 처리 및 OPU(Ovum pick up) 기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 및 이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정란 이식의 수태율은 약 40% 정도로 일반 인 공수정(약 60%) 수태율에 비해서 성공확률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관련된 비용과 절차(공란 우 선발, 수정란 생산, 이식, 수란우 관리) 등에 있어서 인공수정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주의를 요 한다. 그리고 한우 수정란 이식에 관련된 많은 연구결과를 보면 수정란 질적요인, 시술자 숙련도, 수란우 상태 등이 수태율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수정란 이식 수태율에 연관된 부분 중 수란우 특성 및 상태에 따라서 수태율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공시축은 포항축산농협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사육중인 1산차 암소를 대상 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정란은 농협중앙회 경제지주(주) 한우개량사업소에서 공급받은 과배란 처 리방법(체내수정)에 의해 만들어진 냉동란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서 1명의 시술자가 배란동기화 처리 후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총 25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였으며 평균 수태율은 48.0%였다. 수정란 이식당시 암소 의 월령별 수태율을 분석한 결과 21~25개월의 암소에서 수태율이 7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정란 이식 전 수태당 인공수정 횟수에 따른 수태율을 비교한 결과, 2회 이하인 경우, 수태 율이 56%로 2회 초과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란우가 분만 후 이식하기까지의 경과일수에 따른 수태율을 분석한 결과 51~80일 사이의 구간에서 가장 높은 수태율 77.8%을 확인 할 수 있 었다(p<0.05). 초음파 임신진단기를 활용한 이식 1일전 황체반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난소의 크 기(1.5 cm)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분리(A: 1.5 cm 이상, B: 1.5 cm 미만)하여 수태율을 비교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수란우는 1산차 이상, 생후 21~25개월령, 수태당 수정횟수 2회 이하, 분만 후 경과일수 51~80일령인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 수정란이식에서 보다 높은 수태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실제로 한우농가에서 이와 같은 수란우를 확보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임 으로 간단한 처리로 수태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최근 소 의 수정란 체외배양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resveratrol, trolox, linoleic acid, 기타 식물추출물 등) 의 처리에 따라 난성숙과 배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들이 있다. 따라서 in vitro 실험 에서 검증된 생리활성물질을 처리하고 임신관련 호르몬(progesterone, estradiol-17β)들의 변화와 수태율을 확인함으로써 생리활설물질을 통한 한우 암소의 수태율 향상기술 개발연구를 진행하고 자 한다.
본 논문은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란계 종류에 따른 계란품질과 성분조성을 실험 및 분석하였다. 산란개시 32주령에 있는 4개 품종의 청색란실용계 (BC), 연산오골계(YS), 재래닭 (KN), 백색레그혼 (WL) 총 120수 (각 처리구당 10수 × 3반복 × 4처리구)를 임의 배치하여 생산된 계란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계란의 품질 평가의 경우, BC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호우닛 계수 (82.82),난각강도 (0.37 mm) 및 난각두께 (40.58 kg/cm2)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으며,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BC가 317.58 mg/100g로 가장 낮았지만, YS는 381.30 mg/100g으로 매우높게 나타났다 (p<0.05). 그리고 계란의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 (C18:1n9)함량은 BC가 다른품종보다 매우 낮았으며, 아미노산의 경우에는 Thronine과 Proline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대체로WL종이 다른 품종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ddition of pegmatite for Hanwoo steers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Based upon the findings yielded by the research referenced above, the result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 Oleic acid was for the most part, higher as T2 plots (45.40%) and T3 plots (44.20%) compared with Con. plots (42.50%). As well,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reatment plots in unsaturated fatty acid (UFA),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were largely higher than that of Con. plots, and of them all, T2 plots were highest. As for the melting point of fat, T2 plots (29℃) were largely lower than that of Con. plots (31.9℃).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reatment plots were significant higher as the content of total essential amino acid and total amino acid and inosine monophosphate in the nucleotide compound for the Hanwoo beef was treatment plots when compared with Con. plots.
본 연구는 한방생균제 첨가급여가 거세한우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거세한우 50두 (5처리 x 10두)를 공시하여 육질을 분석하였다. 육의 조지 방 함량은 T2그룹과 T3그룹이 유의적 높았으나, 가열감량은 Con 2그룹이 가장 높았다 (p <0.05) 보수력은 56.73~60.16% 범위로, 전반적으로 처리그룹이 대조그룹보다 더 높았으며, 그 중에서 T 3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41.64~47.33 mg/100g 범위로, 그 중에서 Con 1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0.05) 또한 관능평가인 다즙성, 연도, 향미는 T3그룹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p <0.05) 그리고 지방산 조성에서 올레인산과 무파 T2그룹과 T3그룹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 <0.05), 아미 노산 함량은 처리그룹 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에서 한방생균제 첨 가급여는 한우육의 육질개선 및 불포화 지방산에 영향을 미치며 고급육 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 된다.
최근의 다양한 환경에서 악성코드나 의심 코드에 의한 피해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종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동의 없이도 PC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피해를 지속적으로 영산하고 있으며 그 심각성도 날로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검증하는 기술 및 탐지 기법을 토대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대응기술로 고도화 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PC에 설치되기 이전부터 검사 및 판단하여 사전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가 실제 PC상에 설치되기 이전에 탐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며 이를 장치형태로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술을 토대로 악상코드 근절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 판단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24pieces of pork jerky produced using raw meat with ginger and ginseng powders. The hind leg meat were randomly assinged to 3 treatment groups including control, T1(A-ginger powder 0.1%, B-ginseng powder 0.1%), T2(A-ginger powder 0.2%, B-ginseng powder 0.2%) and T3 (A-ginger powder 0.3%, B-ginseng powder 0.3%). In addition,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pork jerky were analysed. Water activity of pork jerky was about from 0.66 to 0.80 and pH ranges between 5.42 and 5.75, those result in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storage period. redness in a value, control and T1 sections show high value, yellowness in b value, T3 section shows high value.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brittleness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p<0.01) than that of treatment groups in the pork jerky texture, but the treated groups showed greater(p<0.05) springness and gumminess. Free amino acids in pork jerky were higher(p<0.05) in the T3-B group(50.06%)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grou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zyme and yeast extract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parameters in Hanwoo steers. A total of forty-eight 23-month-old Hanwoo steer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545.25±12.60 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Hanwoo steers housed in four heads group per pen. The treatments comprised of four groups of control (no feed additives), treatment 1 (xylanase, cellulase, and gluco-amylase; 0.1%/concentrate), treatment 2 (β-glucan and mannan-oligosaccharide; 0.1%/concentrate), and treatment 3 (treatment 1+2; 0.1%/concentrate). During the fourth and eighth month,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s improved in treatment 1, but in the control this was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p treatment 3 > treatment 2 > control, and extended to carcass grade. White blood cell indices were lower in treatments 2 and 3 and the IgG indic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treatments. As a result, levels of xylanase, cellulase, and gluco-amylase were increased from the fourth month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live carcass traits. During the second month, β-glucan and mannan- oligosaccharide increased IgG indices in blood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