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order to design a good vehicle system which can meet the safety regulation. it is necessary that a series of experimental tests should be carried out These tests are very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Therefore, finite element method for the optimized design and analysis of vehicle system can be an alternative.
This pa~r shows a computational evaluation for a very complicated 4WD vehicle which consists of frame and body structures. The results predicted from finite element analysis are compared with test results and the performance of vehicle system is evaluated.
초등교사의 도덕교육 전문성에 대한 요청이 있다.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에 있으며, 초등교사의 도덕교육전문성은 도덕수업의 전문성에 있다. 슐만(Shulman. L. S)이 제시한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은 많은 연구를 거쳐 교사 전문성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도덕과 교육에서의 초등 교사들이 형성하여 가지고 있는 도덕과 교수학습과 관련된 교수내용지식은 ``수업 전 준비 지식``, ``수업내용 재구성 지식``, ``수업방법 재구성 지식``으로 구성된다. 지식 중심의 다른 과목과 달리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이 통합된 인격체를 형성하는 도덕과에서는 수업 전까지의 과정과 다양한 학생여건과 수업여건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업 과정에서의 학생과 상황을 고려한 내용과 방법의 재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덕과 교수내용지식으로서 제시된 세 가지 지식은 이러한 상황 적 요구 속에서 교사들이 형성해 온 것으로, 초등교사의 도덕과 수업 전문성의 핵심적 교수내용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A new energy absorbing mechanism for car seat was developed to reduce the neck injury in rear impacts. Energy absorbing principle is based on the shear-bolt behavior of thin-walled cast components subjected to static and dynamic loads. Results of shear bolt test using AM60 of Mg alloys showed robust behavior giving an approximately constant mean force during failure processes. Simply designed energy absorbing mechanism was assembled with the recliner between seat backs and seat rails. We have simulated the sled test of seat with dummy under the rear end impact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Results of simulation show that the new seat mechanism reduces thorax acceleration to a considerable extent, but it is not sufficient to mitigate neck injury indices e.g. neck shear force, neck tension force and NIC. With heightened headrest and narrowed backset, the energy absorbing mechanism resulted in good performance of protecting the neck injuries.
본 연구는 산사태 발생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6년 7월 11일부터 7월 18일까지 집중호우 시 다수의 산사태가 발생한 인제지역의 지형요인, 임상, 토질, 지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미래에 발생할 산사태의 취약성 평가를 위해 인제지역에 발생한 산사태를 활동형태와 흐름형태로 구분하고 지형에서 경사, 경사각, 곡률, 능선, 계곡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임상요인에서 경급, 영급, 밀도, 임상을 추출하여 베이지안을 기반으로 하는 LR 모델과 WOE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지역 산사태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예측비율곡선을 이용하여 적합도 검증하였다. 취약성 평가 결과의 적합도 검증 결과 산사태를 유형별 구분 없이 적용한 결과 상위 20%에서 LR 모델은 75%, WOE 모델은 73%의 적합도를 보이고 있으며, 활동형태와 흐름형태로 구별하여 검증한 결과 활동 형태는 상위 20%에서 LR 모델은 71%, WOE 모델은 69%의 적합도를 나타내고, 흐름 형태에서는 상위 20%에서 LR 모델은 86%, WOE 모델은 82%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적합도는 LR 모델 적용 결과가 WOE 모델 적용 결과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활동형태 보다는 흐름형태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사태 취약성 평가와 검증 시에는 기존의 연구 방법과는 달리 산사태 발생 예측 시 유형별로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코호트연속설계(cohort-sequential design)는 서로 다른 연령 코호트를 반복측정하고 자료의 특정 시점을 중복하여 공통의 변화궤적을 추정하는 모형으로, 잠재성장모형의 확장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단일 종단패널을 사용한 잠재성장모형에 비해 짧은 시간으로 긴 기간의 변화궤적을 추정하는 등 학문적, 실용적 장점이 있으나, 모형의 설계와 통계적 절차가 복잡하여 연구자들이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호트연속설계의 기본 개념과 가정 및 자료 구조를 설명하고, 다집단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그동안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다양한 함수모형으로의 확장방법과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방법의 장점을, 중복되지 않는 시점을 결측으로 처리하는 분석방법과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코호트연속설계의 개념과 가정, 절차 등을 자세히 제시하여 연구자들의 모형 이해도를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에 코호트연속설계 모형을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s much supplied with new-renewable energy, as much invested in PV system. PV system consists of PV module, PCS and Monitering system, and also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type and the capacity by installation method and cost etc. When various systems are installed in the field, it is needed to research for applying in the field and establish infrastructure in order to ensure stable efficiency and reliability. In this study, as the basic design of the demonstration test facility, it is designed the basic PV systems for each capacity to test each PCS. In addition, It is drew the climatic conditions such as insolation, temperature and the design parameters such as installation angle, shades for the local demonstration project and expected the generation of each PV system.
경제성장의 핵심요소인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부는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기술혁신의 결정요인, 지원정책수단의 효과 등에 대해 다양한 분석결과를 공급자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지만 정책수요자 측면에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실시한 기술혁신조사(2005)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혁신 장애요인과 지원제도 활용간의 영향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원제도의 유형에 따른 일부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 장애요인이 지원제도 활용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금 장애요인이 클수록 기업들은 유형을 불문하고 지원제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 장애요인을 크게 경험하는 기업일수록 기술지도/정보제공 관련 지원제도를 활용할 확률이 높았다.
이 연구는 감 가공품 중 살충제 dinotefuran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고 가공에 따른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포장시험용 시험농약은 dinotefuran (20%, WG)이었으며, 포장시험은 감 주산지인 경북 상주, 경북 청도, 경남 진주에서 수행하였다.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시험농약을 2, 000배 희석한 후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수확 14일전까지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하였으며, 가공품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20 kg 이상의 가공품 조제용 시료를 수확하였다. 시료 수확 당일에 수확한 감시료를 감 가공회사로 운송하여 감말랭이, 반건시, 꽂감을 조제하였다. 감과 가공품 중 dinotefuran의 잔류 분석은 LC-MS/MS를 이용하였으며, 모화합물 dinotefuran과 대사산물 DN, MNG, 매의 정량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다. Dinotefuran과 대사체에 대한 감, 감말랭이, 반건시, 곶감의 회수율은 각각 70.04-102.51%, 70.06-118.92%, 70.07-98.76%, 70.15%-97.74% 이었다. 감, 감말랭이, 반건시, 곶감 중 dinotefuran의 합산 잔류량은 각각 0.25-0.50 mg/kg, 0.83-1.09 mg/kg, 0.58-0.72 mg/kg, 0.91-1.08 mg/kg 이었으며, 감의 가공에 따른 감말랭이, 반건시, 곶감의 가공계수는 각각 2.15-2.76, 1.26-1.88, 2.06-2.97로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시험농약의 농도가 중가하였다. 이는 껍질을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험농약의 침투이행 특성과 가공품 제조 시 장시간의 건조과정을 통하여 농약이 농축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