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2,4-D) on vitellogenin (VTG) production and estrogen(E₂)-estrogen receptor (ER) binding affinity were examined in primary hepatocyte culture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epatocytes were pre-cultured for 2 days; subsequently, E₂(2×10^(-6) M) and 2,4-D(10^(-9)~10^(-6) M) were simultaneously added to the incubation medium. They were cultured for more than 5 days. VTG and E₂-ER binding affinities were analyzed by SDS-PAGE and ELISA, respectively. 2,4-D concentration used had no appreciable effect on the morphology, viability, and DNA content of hepatocytes in culture. It had also no effect on VTG production. However, it interfered with E₂-ER binding affinity, which was reduc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2,4-D. The affinity was inhibited by 25 and 30 % at 10^(-7) M and 10^(-6) M of 2,4-D,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ed that although 2,4-D had no effect on VTG production, it acted as xeno-estrogenic contaminant in ER.
해양생태 독성시험법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새로운 시험법의 개발과 더불어 유용수산생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시험법은 유해물질에 대한 급성독성을 평가하고 있다. 해양생태계내에서 오랫동안 아치사 농도로써 생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을 평가하기 위한, 만성독성 평가기법은 그 수가 대단히 한정되어 있다. 유용수산생물 자원인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생산자로서 해양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주자 방출, 발아, 수정 및 아포체 성장의 초기생활사 동안 실내배양이 가능하다. 실내 배양기간 동안 아포체 성장을 이용한 만성적 독성영향을 파악할 수 있어, 향후 해양생태 독성시험과 환경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갯녹음 원인 구명에도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성숙한 U. pinnatifida의 포자엽으로부터 방출된 유주자를 6개 중금속(Cd, Cu, Zn, Pb, Cr, As)에 노출시켜 21일간 배양한 후에 아포체 성장률을 측정하였고,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무영향농도(NOEC), 최소영향농도(LOEC)를 나타내는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중금속에 노출된 U . pinnatifida의 아포체 성장률은 중금속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농도 의존성을 나타냈다. 중금속이 아포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0.1ppb 미만의 낮은 농도에서 NOEC가 관찰되었고 LOEC의 경우도 Cd, Cu 및 Pb는 0.1ppb에서, Zn, Cr 및 As는 1ppb 정도의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10년에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실시한 황해 어장환경 모니터링 중 가로림만의 11개 정점에 대해 년 6회 짝수 달에 조사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엽록소 a, 입자성부유물질(SPM) 및 영양염류를 분석하여 가로림만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 염분, COD, 용존성무기질소, 엽록소 a, SPM은 표ㆍ저층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 조사 항목은 표ㆍ저층간의 차이가 없었다. 모든 조사 항목에서 정점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 수역의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염분은 8월에 평균 31이상으로 저염분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DO는 농도가 낮은 6~8월에 평균값이 빈산소 수괴 발생 농도인 3mg/L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엽록소 a는 전체적으로 6월 표층 1.68㎍/L, 저층 2.38㎍/L, 8월 표층 1.68㎍/L, 저층 1.57㎍/L로 여름철에 가장 높았다. 영양염류는 전체 조사시기별 중에서 2월이 높고 8월이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여름철에 가로림만으로 들어오는 담수유입이 제한받고 여름철에 번식하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해서 영양염이 소비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DIN/DIP 비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6월의 경우는 표층 30.52, 저층 37.89로 다른 조사시기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SPM은 2월 저층에서 44.15mg/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겨울에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영양염류의 결과와 저염분 현상 및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가로림만은 외해의 해수 교환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작은 하천을 통해 들어오는 담수의 유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해역별 수질등급은 전반적으로 Ⅰ, Ⅱ등급의 수질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수산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안이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보전이 요구된다.
The estuarine Gobiidae Tridentiger trigonocephalus,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Favonigobius gymnauchen were exposed to various heavy metals . As a measure of acute toxicity, the 96h-LC50 in the three species exposed to copper, lead, zinc and chromium was 740-990, 1,660-1,980, 6,180-8,490 and 8,830-11,296 μg L-1, respectively. In order of toxicity, the heavy metals were ranked copper>lead>zinc>chromium. The Gobiidae C. dolichognathus was more sensitive to heavy metals than T. trigonocephalus and F. gymnauchen.
Toxicity assessment of antifouling agent, zinc undecylenate (ZU) has been investigated using the rate of survival and population growth in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The survival rate of Brachionus plicatilis was determined after 24 h of exposure to ZU and was not affected up to the maximum level of 100.0 mg L-1 of ZU. The population growth rate (r) was determined after 72 h of exposure to ZU. It was observed that r in the controls (absence ZU) was greater than 0.5 but exhibited a sudden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ZU. ZU reduced r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 significant reduction occurred at a concentration greater than 12.5 mg L-1. The 50%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value of r during ZU exposure was 26.4 mg L-1, No-observed-effect-concentration (NOEC) was 6.3 mg L-1 and Lowest-observed-effect-concentration (LOEC) was 12.5 mg L-1,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it is apparent that ZU concentration greater than 12.5 mg L-1 exhibited a toxic effect on the r of zooplankton, B. plicatilis in natural eco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