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sphatidylcholine was used to encapsulate aqueous extracts of Centella asiatica, and its biological activity was compared with another aqueous extracts. Nanoparticle of C. asiatica was made by encapsulation to w/o type spherical liposome which of aqueous extracts seized with oil phase as 78.2 nm average diameter. Cytotoxicity of the nanoparticle was measured on human skin fibroblast cells, CCD-986sk, and showed lower cytotoxicity on 1.0 mg/ml of highest concentration as 28% than that of another extracts. The nanoparticle showed the highest promotion of human B and T cell growth up to 138% and 13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NK cell growth was promoted up to 8% higher than the control in proportion to secretion of IL-6 and TNF-α from immune cell growth. Also nanoparticle showed highest inhibition activity of hyaluronidase on 1.0 mg/ml of highest concentration as 60.5%. It seems that because of enhanced biological application of aqueous extracts on cell through nano-encapsulation process.
본 연구는 캠벨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조건과 그에 따른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의 확립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조건은 추출 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각각의 수율을 비교하였으며, 각 분획물은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나타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에서는 추출 온도 78℃, 에탄올 농도 100%에서 11.4%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과피에서도 역시 추출 온도 78℃, 에탄올 농도 100%에서 44.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39.2%인데 비하여 과피에서는 85.6%로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50℃ 에탄올 추출물이 RC_(50)=16.8 μ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RC_(50)=15.4 μ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 에탄올 추출물이 RC_(50)=2437.5 μg/mL로, 분획물에서는 butanol 분획물이 RC_(50)=698.4 μ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 온도와 용매 농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과피 에탄올 추출물 보다 145배 이상의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contents of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 Rh2 and Rg3 using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in wild cultured-Root in wild ginseng. For selective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 ultra high extraction was applied at 500MPa for 20 min which was followed by steaming process at 90℃ for 12 hr. It was revealed that contents of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were decreased with the complex process described above, whereas contents of ginsenoside Rh2 and Rg3 were increased up to 4.918 mg/g and 6.115 mg/g,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entration of benzo[α]pyrene in extracts of the cultured wild ginseng roots treated by the complex process was 0.64 ppm but it was 0.78 ppm when it was treated with the steaming process. From th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low molecular weight ginsenosides, Rh2 and Rg3, are converted from Rb1, Rb2, Rc, and Rd which are easily broken down by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This results indicate that an ultra high pressure and steaming process can selectively increase in contents of Rg3 and Rh2 in cultured wild ginseng roots and this process might enhance the utilization and valu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무선 이동통신의 발전에 따라, 우리 군도 LTE 기술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군 네트워크에서 보안 은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IMSI 및 사용자 위치 노출문제는 반드시 해결을 해야 한다.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PS-AKA에 IMEI와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강화된 EPS-AKA 인증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강화된 EPS-AKA는 IMEI를 추가하여 LTE-K를 생성함으로써, USIM 복제에 의한 불법적인 접속 및 도청을 차단한다. 또한 IMEI와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인증 메시 지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위치정보 및 IMSI의 노출을 방지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접근방법은 추가적인 암호 알고리즘의 적용 없이 보안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에 비해 연산 비용이 낮다
중금속은 유기오염물질과 달리 생분해성(biodegradability)이 없어 생태계 내에서 먹이사슬에 의한 농축효과(biomagnification)가발생되어 생물체로 축적되며 그 결과 다양한 질병과 장해를 초래하게 된다. 생물소재를 이용한 중금속 폐수처리 공정은 기술이 간단하고 저농도의 중금속 제거에 효율적이며 폐자원을 이용하므로 경제적이고 공업용 이온교환수지등과 달리 2차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므로 친환경적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량이 많고 가격이 저렴하며 확보가 용이한 밤껍질(율피)과 참나무톱밥을 생물소재로 선정하여 폐수 중 흔히 존재하는 중금속(Pb)에 대한 흡착효율을 평가 하였으며 화학적 처리에 의한 흡착량 및 표면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생물흡착제로의 적용가 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등온흡착실험결과 Langmuir 모델이 잘 적용되었으며 20℃, pH 5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판단되었고 최대흡착량(qm)은 율피 31.3 mg g-1, NaOH 처리 참나무 톱밥 27.0 mg g-1로 조사되었다. 밤껍질과 참나무톱밥은 지금까지 연구된 생물흡착제들 중 높은 중금속 흡착능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다양한 생물소재에 대한 중금속 흡착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고효율 저비용의 생물흡착제를 선정, 폐수처리 공정을 설계하여 상용화 단계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화과 약용식물들의 각 추출물은 정상세포에 대한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두 종류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의 경우, 국화과 Herb들은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이상의 농도에서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70%이상,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 60%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서는 증류수 추출물들은 0.5㎎/㎖이상의 농도에서 약 4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었으며,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 증류수 추출물들은 0.5㎎/㎖이상의 농도에서 약 6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8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암세포의 상대적 사멸도인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에서 1.0㎎/㎖의 농도에서 3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작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B 세포와 T 세포에 대한 생육촉진 실험 결과, Echinacea, 엉겅퀴의 증류수 추출물과 Echinacea 에탄올 추출물은 0.5㎎/㎖ 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배 이상, B-cell의 경우 1.5배 이상의 생육을 증진시켰으며, Echinacea 경우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0.5㎎/㎖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2.6배 이상 B-cell의 경우 1.4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들의 IL-6와 TNF-α의 cytokine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IL-6는 엉겅퀴의 에탄올 추출이 0.5㎎/㎖의 농도에서 96pg/㎖의 분비량을 TNF-α는 Echinacea의 에탄올 추출물이 94 pg/㎖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Echinacea의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간암 세포에 대한 산화는 추출물 투여 후 세포의 산화가 급격히 나타났다. 위의 연구들을 미루어 볼 때 국화과 약용식물들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