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presents that what's the right EOLL(End of Lamp Life) phenomenon on fluorescent lamp and how to detect it according to the lamp status. In normal end of life situation for fluorescent lamps is emitter depletion of the cathodes. So, in roost cases, the discharge will extinguish and the lamp will not start. But, if the ballast is capable of sustaining the discharge, a new condition arise. Especially, the T4 and T5 lamp which has a short distance from cathode to socket of lamp fixture must have the EOLL protection function.
최근 고급차의 헤드라이트용 램프로 메탈핼라이드 램프가 사용되어지면서 자동차의 고급스런 분위기와 많은 광량으로 인하여 사물의 판독이 용이하여 특히 야간 운전시 많은 사람의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1][2][3].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게 개발된 안정기는 신뢰도 및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고가에 수입하여 일부 차에만 적용되고 있는 상태이다[4]. 본 논문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전자식 안정기의 구성은 플라이백 컨버터, 하프브리지 인버터, 램프 이그니션을 위한 이그나이터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HID 램프가 가지는 음향공명 현상을 피하기위해서 400[Hz]의 구형파로 램프를 동작 시켰으며, 램프 점등 초기에 더 많은 에너지를 램프에 공급하는 방법으로 램프 동작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방법과 동시에 램프 점등 상태를 안정화를 위한 상태 천이 전류 공급 회로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확인 및 평가는 12[V] 축전지와 35[W] HID 램프를 사용해서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buck-boost driving method with high power factor. The high power factor concept uses an artificial internal reference signal which uses an internal digital block with same phase information with the input source. Slope compensation is also adapted for preventing the sub-harmonic problem on system. This paper will show this kind of control scheme is good for LED lighting application with high performance and small size.
형광램프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전극에서 열 전자 방출을 돕는 보조 물질이 램프 외벽으로 흡수되어 램프 점등 조건 및 정상 상태 조건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오랜 시간 방치한다면 램프 전극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게 되어 등 기구 소켓을 녹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은 형광램프 수명 말기에 나타나는 현상(정류 효과)을 검출하고, 이로부터 안정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