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비파괴 응력계측수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자기이방성센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터널굴착에 따른 강아치 지보공의 응력거동을 분석해 보았다. 자기이방성센서 응력측정방법은 철 등의 강자성체의 자기특성이 변형에 의존하는 것을 이용하여 강재표면의 절대응력을 구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이방성 응력측정법에 의한 계측과 변위계측 결과를 이용하여 단층부근을 지나가는 지반과 지보구조물의 변형과 응력 거동의 특성을 규명해보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ood value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Results of salinity experiment in starry flounder clearl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hesiveness and hardness except springiness. Proximate composition of muscle, crude lipid at the salinity 0 psu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15 psu and 33 psu,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rude protein, moisture and ash. While variations in some amino acid composition, serine and threonine contents were observed among fishes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of water,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other amino acid contents. Muscle fatty acid com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16:0, C16:1n-7, C20:1n-9, C22:5n-3 and C24:0.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clearly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dor and color of fish muscle reared in different salinity. But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showed the lowest values in 0 psu.
Background/Aims: Clinical outcome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may be associated with specific virulence-related bacterial genotyp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 pylori virulence factors such as cagA, vacA, iceA and severity of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Methods: PCR was used to examine cagA, vacA, and iceA genotypes of H. pylori isolates obtained from 92 infected patients with different clinical presentations (14 cases of nonulcer dyspepsia, 26 cases of gastric ulcer, 30 cases of duodenal ulcer, 22 cases of gastric cancer). If sl was positive, DNA sequence was analyzed for its subtype. Results: The positive rate of cagA varies from 78.6% to 96.7% in the clinical subcategories. The positive rates of iceA1 and iceA2 were 88.5% and 0% in patients with gastric ulcer, 86.7% and 3.3% in patients with duodenal ulcer, 72.7% and 13.6%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92.9% and 0% in patients with nonulcer dyspepsia,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valence of cagA and iceA among these groups. The vacA genotype slc and ml were predominant in most subjects irrespective of the clinical outcome and we could not find slb and s2 subtypes. The genotype of cagA+ iceAl vacA slc-ml was predominant in Korean H. pylori strains. Conclusions: We could not confirm the previous report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agA, vacA, iceA status and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H. pylori strains in Koreans. (Korean J Gastroenterol 2001;38:89-97)
이 논문은 1951-1964년 사이 국교정상화를 위한 한일회담시 과거사 인식을 둘러싼 한일 양국의 대립이 독도 영유권 문제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독도 영유권 문제가 순수한‘영토’문제라기보다 실질적으로‘역사인식’에 대한 대립의 연속선상에 위치한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일회담에서 독도 영유권 논의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친 미국의 전후 역사인식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한일회담에서 과거사 인식의 합의를 위해 체결된「기본관계조약」이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검토하였다. 미국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카이로회담 및 포츠담선언의 반침략주의 노선을 반공산주의 노선으로 전환함에 의해 일본의 침략주의 역사를 희석시켰다. 그 결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틀내에서 진행된 한일회담에서도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한 과거사 인식은 모호한 상태로 남겨졌다. 이 때문에 침략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1905년 일본의 독도영토 편입에 대해 그 불법성을 명확히 규정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 위치에서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전체 스펙트럼 자원에 존재하는 비율로서 정의되는 스펙트럼 사용 계수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사용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무선 시스템과 동일 공간에서 스펙트럼을 사용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의 안테나 패턴과 송신 전력 등의 함수로 스펙트럼 사용 계수를 나타내었고, 계산된 결과를 서울 지역의 실제 고정 서비스 무선국에 적용하여 스펙트럼 사용량을 계산하였다. 본 논문에서 나타낸 스펙트럼 사용 계수를 이용하면 새로운 무선 시스템을 동일 공간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스펙트럼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스펙트럼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단순한 빈 공간이 아닌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스펙트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