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amines the adjustment process of population growth in Busan from 1966 to 1995. Some hypotheses have been built to analyze a spatial redistribution process and they have been formulated by various concepts and methodologies.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clarified the adjustment process of population development in a viewpoint of spatial and non-spatial attribute, with regard to distances and bearings from CBD to several sub-districts. The paper used the concept of increase in population density.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ange in density and density already in place. 2. Busan has been experienced population dispersion from CBD and subcenters. 3. The interpolation methods like kriging and IDW are used to analyse spatial autocorrelation of population redis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s the transitional change of the tendency from meaningful spatial autocorrelation to random autocorrelation. 4. Busan is now on the absolute decentralization step of suburbanization stages. Consid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of 5 years in this study, we can estimate that transitional change are proceeding to disurbanization stage. These are not efficient for urban structure in the aspects of management and economical efficiencies.
비젼기반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환경에서 도로영역의 분할이 가장 기초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입력영상에서 도로 영역과 하늘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적응적 패턴 추출을 통한 영역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첫째, Mean 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초기분할 단계, 둘째, 정적 패턴매칭 방법에 기반한 후보영역선별 단계, 셋째, 동적 패턴매칭 방법에 기반한 영역확장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된 방법은 적응적 패턴을 현 분할영역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추출하여 영역병합에 사용함으로서 보다 신뢰성 높은 영역병합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장점을 평가하기 위해 정적인(static) 패턴만을 사용해서 영역을 병합하는 방법과 비교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실험결과에서는 적응적인 패턴 추출방법을 사용하였을 때가 정적인 패턴 추출에 의한 영역병합 방법보다 8.12%의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은 수시로 변화하는 도로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도로나 하늘영역을 추출할 수 있으며, 비전기반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이동전화, 와이브로, HSDPA 등 무선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용자의 위치, 상황을 고려한 교통, 관광, 쇼핑 및 긴급구조 등의 맞춤형서비스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용자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무선 단말기를 장착하고 이동하고 있는 이동객체의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그리고 속도 변화와 같은 동적인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 논문은 이동객체가 발생시키는 컨텍스트 처리를 위한 트리거의 유형을 정의하고 이러한 트리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들을 설계하고 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이동객체의 컨텍스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푸쉬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휴대폰 및 텔레매틱스 단말 내장형 GPS의 Ms-assisted 측위 모드 또는 Stand-alone 측위 모드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이동객체 스트림 정보를 수집하고, 이용자 단말 에이전트를 통해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추출하여 이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분산 처리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일본 해안경관 형성 프로세스를 크게 해안경관의 인식단계, 형성이념의 설정단계, 구체적 해안경관형성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특성을 도출하고, 국내 해안의 잠재된 매력을 발견하여, 친환경적이고 매력적인 국내해안경관 창출을 위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실세계의 객체들은 공간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적 정보와도 연관을 갖는데 기존의 공간데이터베이스만으로는 시간 흐름에 따른 공간 객체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 모델과 시공간 연산자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시공간 연산자에 대한 정의와 시그너처정도 만이 기술되었고 시공간 연산자에 대한 설계와 구현에 대한 사항은 제시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 시공간 연산자 그리고 공간 연산자 구현 기법인 Plane-Sweep 기법을 이용한 시공간 연산자인 Trajectory와 MPIntersection에 대한 설계와 구현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