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방법이 공과대학 학생들의 사고, 창의성, 문제해결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의 D대학의 공과대학 학생으로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방법으로 15주간 운영된 강좌를 수강한 학생 68명이다. 플립드러닝이 공과대학생의 사고,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플립드러닝 수업 전과 후, 학생들의 사고,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용 학습역량검사(LCT-CMB)와 생애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플립드러닝 수업 적용 전과 후, 공과대학 학생들의 사고, 창의성,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가 일부 향상되었으나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플립드러닝에 대한 공과대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과대학생들은 플립드러닝의 강점과 전통적 수업방식과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사전학습이 어렵다고 느꼈으며, 스스로 동영상 수업을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교수자로부터 더 많은 도움을 받고 싶은 요구와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확신 부족 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과대학에서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방법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플립드러닝 수업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spectral element analysis for modeling the high-frequency dynamic behaviors of a beam with a surface-bonded piezoelectric wafer through a laboratory test. In the spectral element analysis, the high-frequency electro-mechanical interaction can be considered properly with relatively low computational cost compared to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n the verification test, a cantilever beam with a surface-bonded piezoelectric wafer is forced to be in steady-state motion by exerting the harmonic driving voltage signal on the piezoelectric wafer. A laser scanning vibrometer is used to obtain the overall dynamic responses of the structure such as resonance frequencies, the associated mode shapes, and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up to 20 kHz. Then, these dynamic responses from the test are compared to those computed by the spectral element analysis. A two-dimensional finite analysis is conducted to obtain the asymptotic solutions for the comparison purpose as well.
이 연구는 PR기업들이 신입 인력을 채용할 때 어떤 평가요인들을 고려하며 그중 어떠한 평가 요인들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그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한국PR기업협회에 등록된 PR대행사 임직원 22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AHP분석을 수행한 결과 3단계 계층구조도에 속한 평가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먼저 1단계 평가기준 전문성과 매력 중에는 매력이 두 배 가까이 중요한 척도로 나타났고, 2단계 기준으로 전문성의 세부 유형은 PR관련 경험, 전문지식과 능력, 공식화된 지표/스펙 순으로, 매력의 세부 유형은 PR인의 자질, 외모와 성품, 인생경험/교양, 비공식 요인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3단계 평가기준은 통합분석 결과, 인턴십, 책임감, 성실성, 판단력, 리더십, PR철학 및 신념, 대인커뮤니케이션 능력, 통합성, 인문학적 소양과 상식, 공모전 경험, 독창성, 배려와 친절, 관련 동아리 활동, PR기획능력, 문서작성능력, 취미/특기/여행, 아르바이트 경험, 어학능력, 봉사활동, 학점, PR기초지식, 호감형 인상, 임직원 및 전문가의 추천, 성별’, PR조사/분석, 출신학교, 커뮤니케이션 전공여부, 전문(헤드헌팅)회사의 추천, 나이, 자격증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PR전문 대행사들은 형식적인 스펙보다는 상식과 열정을 갖고 능동적으로 조직생활을 할 수 있는 인력들을 원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Recently each local government has been greatly emphasized on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MICE industry and making great effort to develop local specialized convention products with regional specialized and strategic industry. The research on impact of convention is mainly conducted on economic impact, yet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other values such as social and brand which cannot be converted financially.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domestic and foreign convention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 impact of convention, event performance and support. It also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m. The results of a survey of 212 participants in Seongnam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nvention 2019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components including economic, social, and image facto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nvention participants. It also shows that the impact of conven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event performance and suppor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considered.